추억의 소곤소곤

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알고 합시다.

 

100. 교중(敎中미사는 무엇이 다른가요(문제 18)

101. 성금요일에는 미사 없이 복잡한 전례만 거행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102. 본당 신부님께서 사순시기 동안에는 성모 신심을 비롯한 모든 신심 미사를 금한다.” 하시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103. 전례의 분향 시기와 이유가 궁금합니다.

104.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문제 19)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106. 복음이 봉독되기 전에 이마와 입술과 가슴에 작은 십자성호를 긋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문제 20)

107. 성찬례 중에 신부님께서 성체의 조각을 떼어 성혈에 넣는 것을 봅니다왜 그렇게 하나요?

108. 성체와 성혈이 거행될 때대부분 고개를 숙이거나 간혹 오래된 신자나 연세가 드신 분들 중에 성체성혈을 바라보며 무어라고 중얼중얼 말하는 것을 봅니다어떤 자세가 옳은가요?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110. 성시간의 의미와 자세를 알고 싶어요. (문제 21)

 

103. 전례의 분향 시기와 이유가 궁금합니다.

사제는 입당과 함께 제대에 분향하고 복음 봉독 직전 복음서와 예물 준비 때에 예물과 그리고 다시 제대에 분향합니다.
또 성체성혈 거양 때에 성체성혈에 분향하지요.
분향은 죄의 유혹을 뿌리치려하면서도 거듭 죄를 짓고 살아가는 우리들이 거룩한 하느님 앞에 나아갈 수 있도록 정화시키는 의미를 갖습니다.
구약의 사제들이 거룩한 하느님 앞에서 죽지 않기 위해서는 향기로운 향을 피워야 했던 일에서 유래된 것입니다(레위 16,12-13 참조).
아울러 향을 태우는 것은 하느님께 희생제물로 올리는 찬미의 기도입니다.
향에서 오르는 연기는 광야에서 하느님의 현존을 드러냈던 거룩한 구름의 상징이며 하늘을 향해 올리는 기도를 뜻하는데요. 시편의 저자가 나의 기도 분향으로 받아 주시고 치켜 든 손 저녁의 제물로 받아 주소서라고 노래했던 까닭이지요.
구약은 하느님께서 백성들의 기도와 제물 봉헌을 기꺼이 받아들이신다는 것을 주님께서 그 향내를 맡으시고”(창세 8,21)라고 표현하면서 향기가 곧 하느님의 기쁨과 즐거움임을 알려줍니다.
우리는 하느님께 피어오르는 그리스도의 향기입니다”(2코린 2,15)라는 말씀처럼 우리의 제물과 마음이 하느님 사랑의 불꽃으로 정화될 때, 그리스도의 향기가 되고 온 세상은 주님의 향기로 가득차게 될 것입니다.
우리 마음의 생각이 당신 마음에 들게 하소서”(시편 19,1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96. 독서자로 선정되어 기쁘지만, 한편 조심스럽습니다. 독서자가 가져야할 마음가짐을 가르쳐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8 32
261 97. 1년 전, 성경필사를 시작했는데 끝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성이 부족한 것일까요? 도와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9 34
260 98. 지난 번 소곤소곤에 “성경통독의 효과”를 언급하셨는데, 상세하게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0 33
259 99. 어른에게도 지루한 성경을 아이에게 권하기가 어렵습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1 18
258 100. 교중(敎中) 미사는 무엇이 다른가요? (문제 18)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2 87
257 101. 성금요일에는 미사 없이 복잡한 전례만 거행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3 48
256 기도드리며 다시 묶어바칩니다.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4 36
255 102. 본당 신부님께서 “사순시기 동안에는 성모 신심을 비롯한 모든 신심 미사를 금한다.” 하시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5 330
» 103. 전례의 분향 시기와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6 17
253 104.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문제 19)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7 426
252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8 64
251 106. 복음이 봉독되기 전에 이마와 입술과 가슴에 작은 십자성호를 긋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문제 20)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9 559
250 107. 성찬례 중에 신부님께서 성체의 조각을 떼어 성혈에 넣는 것을 봅니다. 왜 그렇게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0 68
249 장재봉 신부님의 <소곤소곤 얼추 알겠습니다>에 부쳐(천주교 전주교구 교구장 이병호 빈첸시오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1 20
248 108. 성체와 성혈이 거행될 때, 대부분 고개를 숙이거나 간혹 오래된 신자나 연세가 드신 분들 중에 성체, 성혈을 바라보며 무어라고 중얼중얼 말하는 것을 봅니다. 어떤 자세가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2 102
247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 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3 45
246 110. 성시간의 의미와 자세를 알고 싶어요. (문제 21)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4 112
245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5 63
244 112. 예비신자입니다. 신부님으로부터 마주잡고 기도하는 손 모양이 틀렸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기도는 꼭 손가락을 펴고 오른 쪽 엄지를 위에 두고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6 204
243 113. 지난 5월 21일 대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교회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문제 22)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7 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