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3권 얼추 알겠습니다.”

 

알고 합시다.

 

100. 교중(敎中미사는 무엇이 다른가요(문제 18)

101. 성금요일에는 미사 없이 복잡한 전례만 거행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102. 본당 신부님께서 사순시기 동안에는 성모 신심을 비롯한 모든 신심 미사를 금한다.” 하시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103. 전례의 분향 시기와 이유가 궁금합니다.

104.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문제 19)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106. 복음이 봉독되기 전에 이마와 입술과 가슴에 작은 십자성호를 긋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문제 20)

107. 성찬례 중에 신부님께서 성체의 조각을 떼어 성혈에 넣는 것을 봅니다왜 그렇게 하나요?

108. 성체와 성혈이 거행될 때대부분 고개를 숙이거나 간혹 오래된 신자나 연세가 드신 분들 중에 성체성혈을 바라보며 무어라고 중얼중얼 말하는 것을 봅니다어떤 자세가 옳은가요?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110. 성시간의 의미와 자세를 알고 싶어요. (문제 21)

 

102. 본당 신부님께서 사순시기 동안에는 성모 신심을 비롯한 모든 신심 미사를 금한다.” 하시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교회 전례는 신자들의 신앙의 유익을 위해서 일 년을 주기로 되풀이 됩니다.
예수님의 태어나심과 수난과 죽으심, 그리고 부활을 기념하고 신자들에게 예수님의 재림을 잘 준비하도록 하기 위해서이지요.
전례력의 목적은 하느님의 구원 역사를 재현하여 현재를 살게 하고 나아가 미래를 준비시키는 것에 있습니다.
따라서 대림시기, 성탄시기, 사순시기, 부활시기, 연중시기로 구성되며 축일도 대축일과 축일 그리고 기념으로 분류합니다.
또 기념도 미사를 의무적으로 바쳐야 하는 의무 기념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 기념으로 구분하고 있지요.
특히 교회는 사순 기간의 모든 평일 미사를 축일 등급으로 격상시킵니다.
이는 예수님의 수난과 부활이야말로 신앙의 핵심임을 강조하는 것이지요.
이에 따라 사순시기 동안에 겹치는 의무 기념일은 선택 기념일로 바뀌게 되는데요. 사순시기 평일 미사를 대신하여 성모신심 미사 등 등급이 낮은 미사를 선택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연중 시기의 토요일에 성모신심 미사를 권하지만 의무 기념일이 겹치게 될 경우라면 허락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이지요.
하지만 사순시기일지라도 이미 사순 미사를 봉헌하고 두 번째 미사로써의 신심미사는 가능합니다.
참 대림시기 동안에는 사순시기와 달리 미사의 등급이 승격되지 않기에 무관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 106. 복음이 봉독되기 전에 이마와 입술과 가슴에 작은 십자성호를 긋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문제 20)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9 559
361 58. 주일에 혼배미사나 장례미사가 겹쳤습니다. 주일미사를 빠져도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4 462
360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7 432
359 11. 돌아가신 분을 위해서 49재 미사를 봉헌하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1 428
358 104.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문제 19)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7 426
357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8 373
356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8 350
» 102. 본당 신부님께서 “사순시기 동안에는 성모 신심을 비롯한 모든 신심 미사를 금한다.” 하시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5 330
354 333. 레지오 회합에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구원송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9 307
353 50. 예수님의 십자가상 위에 있는 INRI의 뜻이 무엇입니까? (문제 8)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5 307
352 112. 예비신자입니다. 신부님으로부터 마주잡고 기도하는 손 모양이 틀렸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기도는 꼭 손가락을 펴고 오른 쪽 엄지를 위에 두고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6 204
351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4 196
350 55. 주일 미사에는 꼭 참석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1 193
349 여기까지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3 180
348 220. 미사예물을 바치지 않고서도 미사 중에 죽은 영혼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면 연미사가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78
347 185. 예수 성심상이 깨졌습니다. 축성 받은 성물을 그냥 버리면 죄가 된다는 말을 듣고 보니, 겁이 나고 난감하기만 합니다. 예전에 묵주가 파손되어 버린 적이 있는데요. 정말 죄가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62
346 17. 가톨릭 교회가 술이나 담배를 허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7 159
345 181. 본당신부님께서 까만 미사보는 장례 미사용이라 하셨습니다. 그런데도 미사에서 까만 미사보를 사용하는 자매님을 보게 되니 딱합니다. 까만 미사보는 일반 미사용이 아니라는 걸 설명해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50
344 183. 72세의 노인입니다. 옛날에 금육은 네 발 가진 짐승에 한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러면 두 발 달린 닭고기는 가능한가요? 금육에 대한 정확한 규정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44
343 15. 자살한 사람들에게는 교회 장례식이 금지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문제 5)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5 1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