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2권 이렇게 설명하세요” 

성경


95. 성경이 여러 권 있는데도 굳이 새 성경을 구입해야 하나요?

96. 독서자로 선정되어 기쁘지만한편 조심스럽습니다독서자가 가져야할 마음가짐을 가르쳐주십시오.

97. 1년 전성경필사를 시작했는데 끝내지 못하고 있습니다정성이 부족한 것일까요도와주십시오.

98. 지난 번 소곤소곤에 성경통독의 효과를 언급하셨는데상세하게 알고 싶습니다.

99. 어른에게도 지루한 성경을 아이에게 권하기가 어렵습니다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97. 1년 전, 성경필사를 시작했는데 끝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성이 부족한 것일까요? 도와주십시오.
 

힘내십시오.
신앙인이라면 하느님의 말씀이신 성경을 읽고, 필사하는 일은 지극히 마땅하고 옳은 일입니다.
오랜 동안 가톨릭교회가 성경에 초점을 두지 못하고 여러 신심 운동(성체신심, 성인공경, 마리아신심 등)을 강화시킨 결과, 성경을 접할 기회에 소홀하도록 하였습니다.
모든 신심운동이 중요하지 않다는 뜻이 아니라, 갈라져나간 개신교에서 오직 성경말씀만을 강조하며 교세를 확장시키는 일에 대한 알레르기반응의 결과였음을 간과하기 어렵다는 말입니다.
때문에 요즘 많은 신자 분들이 성경에 관심을 갖고, 읽고 쓰는 일에 열중하고 계신 모습은 너무나 고맙고 기쁜 일입니다.
성경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보내주신 하느님의 것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이며 하느님의 사랑이며 하느님의 뜻입니다. 무엇보다 우리를 향한 하느님의 고백입니다.
성경을 읽고 쓰는 일을 통해서 하느님을 만나고 깨닫고 사랑에 젖을 수 있는 것은 살아계신 하느님의 작업이기에 가능한 신비입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저는 매일미사 겉면에 인쇄된 글귀가 마뜩치가 않습니다.
매일미사를 삼 년 동안 매일 읽으면 신구약 성경의 거의 모든 부분을 읽게 됩니다라는 문구가 그렇습니다.
전례력에 맞추어서 복음과 독서가 마련되어 있는 매일미사만 읽고 만다면 사실, 성경의 많은 부분을 놓치게 되는 까닭입니다.
그리 길지도 못한 삶입니다. 그 안에 삼년이나 할애해서 겨우 성경의 모든 부분을 읽는 것으로 만족할 수는 없지요. 그러기에는 성경의 깊이와 넓이가 너무도 깊고 큽니다.
우선 일상의 틈을 이용할 수 있는 성경 통독을 권해 드립니다.
먼저 성경 3독을 목표로 하십시오.
성경은 살아계신 하느님의 말씀인 까닭에 계속 읽어 내리기만하여도 그분의 음성을 들을 수 있습니다.
무조건읽어 내리는 일이 아주 중요합니다.
뜻을 알기 위해서 멈추지도 말고 좋은 글귀를 외우려 애쓰지도 마십시오.
하느님께 다가가는 영혼을 꼬드기려는 사탄의 훼방이 따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틈날 때마다, 시간이 있을 때마다 성경을 펴 들고 읽는 방법으로 그 훼방을 이기도록 하십시오.
삼독을 한 후에는 거짓말처럼 통독의 효과를 경험할 것입니다.
펼치면 지혜가 있다는 것, 살아있는 하느님의 말씀이 계시다는 것을 알면서도 성경을 계속 읽어내는 일은 쉽지가 않습니다.
어쩌면 형 에사오를 피해서 집을 떠나야 했던 야곱의 외로움을 맛볼 수도 있고, 세상의 재미와 자랑을 버려야 했던 모세의 결단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염려하지 마십시오. 진리이고 생명이신 하느님의 말씀이 도우십니다.
성경에서 인내를 배우고 위로를 받아 희망을 간직하게 되기 때문입니다”(로마 15,4).
시작이 절반이라는 말이 있듯이 시작하신 필사도 온 가족이 아울러 함께 하는 작업으로 성취하시기 바랍니다.
진심으로 이 좋은 기쁨을 누리게 되기를 기도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97. 1년 전, 성경필사를 시작했는데 끝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성이 부족한 것일까요? 도와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9 35
101 96. 독서자로 선정되어 기쁘지만, 한편 조심스럽습니다. 독서자가 가져야할 마음가짐을 가르쳐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8 35
100 95. 성경이 여러 권 있는데도 굳이 새 성경을 구입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6 40
99 94. 묵주를 들고 기도하는 모습 때문에 가톨릭이 성모님을 흠숭하는 교회라는 오명을 듣는 것이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5 30
98 93. 복음서에는 “예수님의 형제들이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찾아왔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성모님께서 '평생' 동정이 아니라는 뜻으로 읽게 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4 35
97 92. 신부님의 설명에 의하면 묵주기도의 탄생이 시편이나 주님의 기도를 바치는 데 사용된 것이었다면 성모님과는 썩 깊은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3 11
96 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2 41
95 90. 묵주기도 중에, 묵주 알을 헤는 일과 기도가 어긋나기 일쑤입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1 21
94 89. 성모님의 원죄 없이 태어나심을 믿을 교리라고 알고 있습니다. 쉽게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30 34
93 8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 잘못된 것입니까? (문제 17)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9 77
92 87. 성모님을 믿지 않으면서 성모님께 기도를 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8 38
91 86. 선교할 때, “처녀가 잉태하다니 말이 되느냐”고 되물음을 당했습니다.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7 30
90 85. 교무금의 정확한 의미를 가르쳐주세요. (문제 16)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6 60
89 84. 3월이 요셉성월인 것은 알면서도 세계 교회와 한국교회의 수호성인이 요셉 성인인 줄은 몰랐습니다. 예수님의 양부, 성모 마리아의 남편이신 요셉 성인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5 13
88 83. 하느님의 아들을 키우신 요셉성인의 성품이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3 47
87 82.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문제 15)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2 18
86 81. 향주삼덕을 통하여 하느님과 일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생활 방법을 일러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1 28
85 80. 하느님은 사랑이신데 굳이 지옥을 만드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0 44
84 79. 하느님은 사랑이시기에 지옥은 존재하지 않는다는데, 맞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9 35
83 78. 신부님의 뜻은 알겠지만 세상과 너무 동 떨어집니다. 그리스도인이 노력해서 우월해지면 좋은 일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8 30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