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Nov 02,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2권 이렇게 설명하세요

 

성모님

 

86. 선교할 때, “처녀가 잉태하다니 말이 되느냐고 되물음을 당했습니다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87. 성모님을 믿지 않으면서 성모님께 기도를 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요?

8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잘못된 것입니까? (문제 17)

89. 성모님의 원죄 없이 태어나심을 믿을 교리라고 알고 있습니다쉽게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90. 묵주기도 중에묵주 알을 헤는 일과 기도가 어긋나기 일쑤입니다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92. 신부님의 설명에 의하면 묵주기도의 탄생이 시편이나 주님의 기도를 바치는 데 사용된 것이었다면 성모님과는 썩 깊은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93. 복음서에는 예수님의 형제들이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찾아왔다는 내용이 있습니다성모님께서 '평생동정이 아니라는 뜻으로 읽게 됩니다.

94. 묵주를 들고 기도하는 모습 때문에 가톨릭이 성모님을 흠숭하는 교회라는 오명을 듣는 것이 아닐까요?

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묵주기도는 장미 밭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rosarium입니다.
rosario
란 단어도 장미 꽃다발혹은 장미 화관이라는 라틴어이지요.
초기 교회 신자들이 기도를 대신하여 장미 꽃다발을 바쳤다는 사실이 묵주기도의 전형으로 전해집니다.
또 수도자들이 죽은 자들을 위해서 시편을 50편이나 100, 또는 150편을 매일 외워 바칠 때, 글을 모르는 수도자들에게는 시편기도를 대신해서 주님의 기도를 그 숫자만큼 바치게 했던 일에서 유래되었답니다.
그들이 수를 세는 일이 용이하도록 나무 열매나 구슬 150개를 가는 줄에 꿰고 혹은 작은 돌멩이나 곡식 낱알을 머리에 쓰는 관처럼 둥글게 엮어 하나씩 굴려가며 기도의 횟수를 셀 수 있게 했던 일에서 비롯된 것이지요.
그리고 로마 원형 경기장의 순교자들이 머리에 장미꽃으로 엮은 관을 쓰고 순교한 일이 그 시작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당시, 머리에 꽃으로 만든 관을 쓰는 행위는 자신을 신에게 바친다는 결의로 표현되던 풍습에 따라자신의 생명을 하느님께 봉헌하는 의미로 머리에 꽃 관을 쓰고 순교 당했던 것이지요.
순교자들의 시신을 거두어들이던 남은 신자들이 순교자들의 머리에 썼던 장미 관을 모아서 꽃송이마다, 마다 기도를 바쳐 올렸다는 가슴 뭉클한 사연이 묵주기도 안에 깃들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