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2권 이렇게 설명하세요

 

성모님

 

86. 선교할 때, “처녀가 잉태하다니 말이 되느냐고 되물음을 당했습니다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87. 성모님을 믿지 않으면서 성모님께 기도를 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요?

8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잘못된 것입니까? (문제 17)

89. 성모님의 원죄 없이 태어나심을 믿을 교리라고 알고 있습니다쉽게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90. 묵주기도 중에묵주 알을 헤는 일과 기도가 어긋나기 일쑤입니다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92. 신부님의 설명에 의하면 묵주기도의 탄생이 시편이나 주님의 기도를 바치는 데 사용된 것이었다면 성모님과는 썩 깊은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93. 복음서에는 예수님의 형제들이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찾아왔다는 내용이 있습니다성모님께서 '평생동정이 아니라는 뜻으로 읽게 됩니다.

94. 묵주를 들고 기도하는 모습 때문에 가톨릭이 성모님을 흠숭하는 교회라는 오명을 듣는 것이 아닐까요?

90. 묵주기도 중에, 묵주 알을 헤는 일과 기도가 어긋나기 일쑤입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묵주기도는 묵주 알로 기도문을 외운 수를 헤아리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일생을 생각하고 감사드리는 찬미의 기도입니다.
예수님의 탄생과 헌신의 삶 그리고 죽음과 부활을 성모님과 함께 묵상하는 관상기도이지요.
때문에 각 신비마다 예수님의 사랑을 느끼고 하느님 뜻에 순명하신 성모님처럼 살겠다는 다짐의 의미가 담겨져 있습니다.
기도 방법으로는 예수님의 일생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 본 어머니의 마음이 되어 묵상하기를 권해 드리겠습니다.
하느님의 뜻을 받아들임으로써 겪어야했던 인간 마리아의 고뇌와 기쁨에 함께하세요.
또 아들이며 하느님이신 예수님의 고통과 수모, 그 엄청난 희생을 바라보아야 했던 어머니의 아픈 심정도 느끼시고요.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 하느님의 영광과 사랑의 승리에 환호했을 모성의 감사와 찬미에 화답하는 마음으로 기도하십시오.
묵상이 한결 수월해질 것입니다.
또 세상일이나 잡다한 생각으로 분심이 든 경우가 아니라면 묵주 알이 잘못 헤아려진 것에 마음 쓰지 않아도 됩니다.
기도문 한 마디 한 마디에 심취하노라면 단을 넘겨버리는 경우는 허다한 일이니까요.
묵주기도는 향수어린 구시대의 엄격한 기도가 아니라
새로운 봄을 체험케 하는 가장 감동적인 사랑의 표현이라하신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말씀처럼 사랑에 젖는 은총을 사모하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2 장재봉 신부님의 <소곤소곤 얼추 알겠습니다>에 부쳐(천주교 전주교구 교구장 이병호 빈첸시오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1 20
161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3 20
160 아뢰는 말씀(1권, 2008 가마골에서)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1 20
159 335.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 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1 19
158 310. 그저 착하게 살면 되지 주일마다 성당에 가는 것은 형식적인 신앙생활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4 19
157 277. 구약의 하느님과 신약의 예수님의 가르침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 구약의 하느님은 악인을 멸하고 그분께 원수되면 모조리 없애는 폭력을 사용하셨는데 예수님은 원수도 사랑하라고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용서해주라고 요구합니다. 동일한 하느님인지 헷갈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9
156 262. 화답송은 독서대에서 독서자가 하는 것이 전례의 바른 지침이라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전례 때에서 해설자는 없어도 되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9
155 242. 두 주일마다 미사에 참석합니다. 성사를 보면서 늘 너무 형식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사정상 미사에 빠질 경우, 주님의 기도를 3단 외우면 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9
154 241. 세례식이 있던 날, 외부에서 꽃을 구입하지 말고 성당에서 사라는 공지사항이 있었습니다. “교회가 하느님의 존재 자체를 떠나 약자를 도우기 위한 단체”라면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는 꽃 장사를 돕는 게 당연한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9
153 218. ‘자비의 예수님’ 성화에는 예수님 가슴에서 붉고 푸른 빛이 나오는 것이 그려져 있는데 어떤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9
152 145. 연옥은 무서운 곳인데 왜 ‘복되다’고 말합니까? 연옥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9
151 139. 주보를 갖고 오려다 지적을 당했습니다. 본당에 주보가 모자라니, 두고 가라 하던군요. 주보는 교회를 알리는 홍보용이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8 19
150 99. 어른에게도 지루한 성경을 아이에게 권하기가 어렵습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1 19
» 90. 묵주기도 중에, 묵주 알을 헤는 일과 기도가 어긋나기 일쑤입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1 19
148 권하는 글 (천주교 부산교구 교구장 황철수 바오로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8 19
147 305.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 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뺀 적이 있는데, 사제에게 이 기도문에 대한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9 18
146 298. 천주교는 기도 끝에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하여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 ‘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2 18
145 248. 신앙이 짐처럼 무겁게 느껴집니다. 성당에서는 왜 이렇게 하지 말라는 것이 많은지요? (문제 41)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8
144 211. 세례의 은총으로 신앙생활은 충분한데, 굳이 견진을 받아야 합니까? (문제 37)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8
143 179. 본당에서 해설자가 교중미사 후에 곧바로 삼종 기도를 바치도록 주도합니다. 때문에 삼종 기도를 바치는 시간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8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