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2권 이렇게 설명하세요

 

성모님

 

86. 선교할 때, “처녀가 잉태하다니 말이 되느냐고 되물음을 당했습니다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87. 성모님을 믿지 않으면서 성모님께 기도를 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요?

8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잘못된 것입니까? (문제 17)

89. 성모님의 원죄 없이 태어나심을 믿을 교리라고 알고 있습니다쉽게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90. 묵주기도 중에묵주 알을 헤는 일과 기도가 어긋나기 일쑤입니다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92. 신부님의 설명에 의하면 묵주기도의 탄생이 시편이나 주님의 기도를 바치는 데 사용된 것이었다면 성모님과는 썩 깊은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93. 복음서에는 예수님의 형제들이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찾아왔다는 내용이 있습니다성모님께서 '평생동정이 아니라는 뜻으로 읽게 됩니다.

94. 묵주를 들고 기도하는 모습 때문에 가톨릭이 성모님을 흠숭하는 교회라는 오명을 듣는 것이 아닐까요?
 

8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 잘못된 것입니까

길을 걷다가 혹은 지하철 안에서 묵주를 손에 들고 기도하는 교우를 만나게 되면, 그 모습이 너무 아름다워서 저 홀로 축복을 전하곤 합니다.
그렇지만 차 안의 묵주가 매달려있는 경우를 보면 난감할 따름입니다.
차에 묵주를 걸어 놓으면 사고를 당하지 않는다고요?
매달린 묵주를 보신 성모님이 특별히 보호를 해 주신다고요?
딱하기 이를 데 없는 발상입니다.
나아가 하느님께서 제일 싫어하시는 우상숭배의 모습입니다.
묵주는 사고를 막아주는 부적이 아니며, 또 장식품도 아닙니다반지 묵주가 악세사리로 사용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지요.
기도를 바치기 위해서 사용되지 않는다면 어떠한 성물일지라도 아무 의미가 없을 뿐 아니라 그 가치도 잃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대로 어서, 그 묵주를 손에 들고 기도하도록 하십시오.
기복적이고 왜곡된 신앙관에서 서둘러 빠져 나오십시오.
묵주는 언제 어디서라도 기도를 바치는 일이 용이하도록 성모 어머님께서 직접 알려주신 기도의 도구입니다.
묵주를 곁에 두고 보는 것으로, 지니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기도를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묵주 기도만큼 아름답고 은총을 많이 내리게 하는 기도가 없으니 묵주 기도를 사랑하고 매일 정성스럽게 바치라고 유언하신 교황 비오 10세의 말씀을 기억하시고, 이제 묵주기도의 선수가 되시기 바랍니다.

 

문제 17.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 잘못된 것입니까?

 

17-1) 차에 묵주를 걸어 놓으면 성모님의 특별한 도움으로 사고를 당하지 않는다고 믿는 신자들이 있습니다.
묵주는 사고를 막아주는 부적이 아닙니다.
나아가 하느님께서 제일 싫어하시는 우상숭배입니다.
그러면 묵주는 어디에 쓰이는 도구입니까?

) 기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2 76.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 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문제 14) ​​​​​​​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5 68
281 ​​​​​​​77. 고3입니다. 미사에 빠지지 않기 위해 애쓰지만, ‘공부하지 않는 학생’으로 취급당할 때는 힘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6 38
280 78. 신부님의 뜻은 알겠지만 세상과 너무 동 떨어집니다. 그리스도인이 노력해서 우월해지면 좋은 일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8 30
279 79. 하느님은 사랑이시기에 지옥은 존재하지 않는다는데, 맞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9 34
278 80. 하느님은 사랑이신데 굳이 지옥을 만드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0 43
277 81. 향주삼덕을 통하여 하느님과 일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생활 방법을 일러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1 28
276 82.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문제 15)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2 18
275 83. 하느님의 아들을 키우신 요셉성인의 성품이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3 47
274 84. 3월이 요셉성월인 것은 알면서도 세계 교회와 한국교회의 수호성인이 요셉 성인인 줄은 몰랐습니다. 예수님의 양부, 성모 마리아의 남편이신 요셉 성인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5 13
273 85. 교무금의 정확한 의미를 가르쳐주세요. (문제 16)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6 57
272 86. 선교할 때, “처녀가 잉태하다니 말이 되느냐”고 되물음을 당했습니다.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7 30
271 87. 성모님을 믿지 않으면서 성모님께 기도를 하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8 38
» 8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 잘못된 것입니까? (문제 17)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9 76
269 89. 성모님의 원죄 없이 태어나심을 믿을 교리라고 알고 있습니다. 쉽게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30 34
268 90. 묵주기도 중에, 묵주 알을 헤는 일과 기도가 어긋나기 일쑤입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1 19
267 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2 41
266 92. 신부님의 설명에 의하면 묵주기도의 탄생이 시편이나 주님의 기도를 바치는 데 사용된 것이었다면 성모님과는 썩 깊은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3 11
265 93. 복음서에는 “예수님의 형제들이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찾아왔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성모님께서 '평생' 동정이 아니라는 뜻으로 읽게 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4 35
264 94. 묵주를 들고 기도하는 모습 때문에 가톨릭이 성모님을 흠숭하는 교회라는 오명을 듣는 것이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5 30
263 95. 성경이 여러 권 있는데도 굳이 새 성경을 구입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6 38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