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2권 이렇게 설명하세요


믿음


77. 3입니다미사에 빠지지 않기 위해 애쓰지만, ‘공부하지 않는 학생으로 취급당할 때는 힘듭니다.

78. 신부님의 뜻은 알겠지만 세상과 너무 동 떨어집니다그리스도인이 노력해서 우월해지면 좋은 일 아닙니까?

79. 하느님은 사랑이시기에 지옥은 존재하지 않는다는데맞습니까?

80. 하느님은 사랑이신데 굳이 지옥을 만드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81. 향주삼덕을 통하여 하느님과 일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생활 방법을 일러 주십시오

82.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문제 15)

83. 하느님의 아들을 키우신 요셉성인의 성품이 궁금합니다.

84. 3월이 요셉성월인 것은 알면서도 세계 교회와 한국교회의 수호성인이 요셉 성인인 줄은 몰랐습니다예수님의 양부성모 마리아의 남편이신 요셉 성인을 알고 싶습니다

85. 교무금의 정확한 의미를 가르쳐주세요. (문제 16)


82.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김대건 신부님은 사제서품 11개월만에 새남터에서 순교하신 한국 최초의 사제이십니다.
상세한 것은 부산교회사연구소에 문의하면 친절히 안내해 줄 것이 약속되어 있습니다
김제준 이냐시오와 고 우술라의 장남이셨고 증조할아버지로부터 이어진 순교자 4대 집안입니다.
‘4
대 순교 집안이라는 어휘 하나만으로도 집안의 자녀에게 쏟은 신앙교육이 눈에 선하고 살림의 곤고함이 손에 잡히는 듯 싶습니다.
열다섯 살 김대건 신부님이 최양업, 최방제와 함께 오른 유학 길은 말 그대로 고난과 어려움의 연속이었습니다.
여섯 달을 꼬박 걸어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한 여정은 대견하기보다 안쓰럽고 믿음직하다 여기기엔 너무 가슴이 쓰립니다.
그들의 형색이 얼마나 초라하고 고달팠던지 마카오 신학교의 교장 신부님께서는 그만 울음을 터뜨리셨다고 하지요. 얼마나 가슴아픈지요. 또 얼마나 귀한 모습인지요.
성인의 삶은 하늘에서 뚝 떨어진 순교의 순간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매일 매일 주님을 향한 올곧음이 마지막에 빛을 발하는 것이라 믿습니다.
그 날 꿈을 함께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요절하신 최방제 신학생도 함께 기억하는 한국 교회가 되기를 희망해 봅니다.
그리고 순교자 후손의 긍지로 하느님께 가슴 저린 사랑 하나씩 봉헌하는 우리이기를 기도드립니다.


문제 15.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15-1) 2021년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 탄생 200주년 희년의 해입니다. 신부님께서 언제, 어디서 태어나셨습니까?

) 언제 :1821821
출생 : 충청도 면천군 범서면 송산리(, 충남 당진시 우강면  솔뫼로
132, 솔뫼성지)
 

15-2)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께서 체포되어 옥중에서 취조를 받을 때 관장이 질문한 말이 무엇입니까.

) 질문 : “당신은 천주교인이오?”

: “그렇소, 나는 천주교인이오.”

 
15-3)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과 함께 중국 마카오로 유학을 같이 가신 신학생 두 분은 누구이십니까? 이름을 적어 주세요?

) 최양업, 최방제.
 

 15-4)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은 사제서품 11개월 만에 새남터에서 순교하신 한국 최초의 사제이십니다.
그러면 신부님께서 언제 서품 받으셨고, 언제 순교하셨습니까?
서품일자와 순교일자를 년, 월로 써주시기 바랍니다.

) 사제서품 받은 날 : 1845817
순교 일자 : 1846916. 새남터(현재 노량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141. 일주일에 한 번씩 봉성체(奉聖體)를 오시는데 너무 자주 오니까 괜히 부담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30 18
221 163. 저희 본당은 해설자의 멘트가 없이 침묵시간을 갖습니다. 왜 타 본당에서는 매일미사에 있는 묵상글을 읽거나 음악 연주 등으로 침묵 시간을 빼앗는지요. 좋은 말과 음악이 묵상에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정작 예수님과의 대화시간을 없애는 것 같아 건의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8
220 174. 보통사람으로서 천당에 바로 갈수 있다는데 의문이 듭니다. 통상 연옥을 거쳐 천국에 가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8
219 179. 본당에서 해설자가 교중미사 후에 곧바로 삼종 기도를 바치도록 주도합니다. 때문에 삼종 기도를 바치는 시간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8
218 211. 세례의 은총으로 신앙생활은 충분한데, 굳이 견진을 받아야 합니까? (문제 37)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8
217 248. 신앙이 짐처럼 무겁게 느껴집니다. 성당에서는 왜 이렇게 하지 말라는 것이 많은지요? (문제 41)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8
216 298. 천주교는 기도 끝에 “우리 주 예수님을 통하여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 ‘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2 18
215 305.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 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뺀 적이 있는데, 사제에게 이 기도문에 대한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9 18
214 권하는 글 (천주교 부산교구 교구장 황철수 바오로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8 19
213 90. 묵주기도 중에, 묵주 알을 헤는 일과 기도가 어긋나기 일쑤입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1 19
212 139. 주보를 갖고 오려다 지적을 당했습니다. 본당에 주보가 모자라니, 두고 가라 하던군요. 주보는 교회를 알리는 홍보용이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8 19
211 145. 연옥은 무서운 곳인데 왜 ‘복되다’고 말합니까? 연옥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9
210 218. ‘자비의 예수님’ 성화에는 예수님 가슴에서 붉고 푸른 빛이 나오는 것이 그려져 있는데 어떤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9
209 241. 세례식이 있던 날, 외부에서 꽃을 구입하지 말고 성당에서 사라는 공지사항이 있었습니다. “교회가 하느님의 존재 자체를 떠나 약자를 도우기 위한 단체”라면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는 꽃 장사를 돕는 게 당연한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9
208 242. 두 주일마다 미사에 참석합니다. 성사를 보면서 늘 너무 형식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사정상 미사에 빠질 경우, 주님의 기도를 3단 외우면 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19
207 262. 화답송은 독서대에서 독서자가 하는 것이 전례의 바른 지침이라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전례 때에서 해설자는 없어도 되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9
206 277. 구약의 하느님과 신약의 예수님의 가르침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 구약의 하느님은 악인을 멸하고 그분께 원수되면 모조리 없애는 폭력을 사용하셨는데 예수님은 원수도 사랑하라고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용서해주라고 요구합니다. 동일한 하느님인지 헷갈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9
205 310. 그저 착하게 살면 되지 주일마다 성당에 가는 것은 형식적인 신앙생활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4 19
204 325. 막내며느리가 될 집안은 독실한 개신교입니다. 결혼하면 격주로 번갈아서 교회와 성당을 가자고 언약했다는데, 관면 혼배 등의 절차를 어떻게 해야 가장 현명한 일일지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1 19
203 335.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 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1 19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