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2권 이렇게 설명하세요

 
기도

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70. 
간혹 기도 생활이 현실 도피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그저 제 느낌일까요
72. 
기도의 응답이 꼭 있다고 하셨는데하느님의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까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76.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문제 14)
 

 

76.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 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기도의 방법이 획일적이지 않은 것처럼 성체조배를 드리는 방법과 형식도 다양합니다다만 감실이나 성체가 현시되어 있는 성당, 혹은 조배실에서 바쳐야 합니다.
성체조배는 성체 안에 계신 예수님과의 만남이라는 사실을 기억하십시오.
우리를 사랑하시는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당신의 몸을 주시고 우리와 하나 되기를 원하십니다.
그분을 잘 모시기 위해 준비하고 또 감사를 드리는 행위가 성체조배이지요.
그저 예수님을 생각하는 것으로 조배는 족합니다.
주님과의 대화가 힘들 때에는 성경을 읽으시되 주님께서 지금 나에게 들려주시는 말씀이기를 기도하는 마음으로 읽으시면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시간을 정해서 예수님과 만나는 약속조배를 드리는 일도 주님을 사랑해 드리는 아름다운 방법입니다.
조배시간은 일상에 무리가 없는 때를 택하는 것이 지속적인 조배에 도움이 될테지요.
기도는 하느님께 바치는 우리의 찬미이고 감사이고 고백이기에 무엇을 어떻게 하라는 이 없습니다. 형식에 얽매이기보다 재밌게 하느님께 응석도 부리고 떼를 써도 좋겠습니다. 주님께서는 당신께만 매달리는 일을 퍽이나 좋아하시니까요.
열린 믿음으로 세상에 꼭 필요한 주님의 기쁨과 평화를 누리는 시간이 되신다면 주님의 독특하고 은혜로운 축복의 통로로 쓰임 받으시리라 믿습니다.
 

문제 14.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 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14-1) 성체조배는 하느님을 잘 모시기 위한 준비이며 감사를 드리는 행위입니다.
기도는 하느님께 바치는 우리의 찬미이고 감사이고 고백이기에 정해진 규칙은 없습니다.
그러나 성체조배는 반드시 이곳에서 드려야 합니다. 그러면 이곳은 어디 입니까

) 감실, 성체가 현시되어 있는 성당, 조배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76.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 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문제 14) ​​​​​​​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5 68
321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4 36
320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 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3 48
319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 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2 61
318 72. 기도의 응답이 꼭 있다고 하셨는데, 하느님의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1 34
317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제 느낌일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9 65
316 70. 간혹 기도 생활이 현실 도피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8 32
315 7. 가톨릭이 유사종교에 관대한 이유가 무엇인지요? 절에 49재를 부탁하고 템플스테이에 참가하는 일은 괜찮습니까? (문제 4)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7 80
314 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7 31
313 68.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6 22
312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5 22
311 66. 부끄러운 죄에 대해서는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해서도 사하여 주소서”라고 얼버무리게 됩니다. 이 마음을 주님은 아시겠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4 86
310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 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2 18
309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 거듭 고해를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1 37
308 63. 남자교우와 지식층들 가운데서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껴, 냉담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30 47
307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9 75
306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8 377
305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7 71
304 6. 나쁜 꿈을 꾸면 종일 언짢아집니다. 꿈 해몽에 집착하는 버릇을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6 70
303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5 3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