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Oct 07,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이렇게 설명하세요

 
기도

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70.
간혹 기도 생활이 현실 도피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제 느낌일까요
72.
기도의 응답이 꼭 있다고 하셨는데, 하느님의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까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 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 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76.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 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문제 14)

 
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기도는 하느님께 원을 말씀드리고 청을 올리는 일입니다.
또 생각과 근심까지 헤아리는 하느님께 의탁하고 의지하는 행위이지요.
많은 성인들의 기도에서도 볼 수 있듯이 먼저 자신의 약함을 고백하고, 고통을 토로하며 어서 어서 도와달라고 부르짖어도 좋습니다.
예수님께서도 끊임없이 자신의 청을 말씀드리는 기도의 모습을 옳다 하셨으니까요. 다만, 기도를 바친다면서 그분의 뜻이 아닌 자기주장만 실컷 말씀드린 후에, 기도가 자신의 뜻대로 이루어지나 두고 보자고 벼른다거나 기도의 응답에 따라서 신앙이 흔들린다면 하느님을 시험하는 고약한 일입니다.
그분을 조건부로 믿는 아주 불온한 행위이기도 하구요.
예수님께 증거와 기적을 요구하면서 의로운 척 으스대던 바리사이들과 율법학자들의 행위가 그렇습니다.
결국 하느님을 시험하는 자는 예수님께서 베푸신 치유의 기적에도 시비를 걸고, 유감을 표할 뿐이라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자기는 좋은 것만 다 누리고 이루어지기를 원하는 심보이니까요.
때문에 가장 아름다운 기도는 모든 문젯거리와 어려움까지 다 알고계시기에 선으로 이끌어 주실 것을 믿는 의탁의 모습입니다. 물론 크신 하느님을 향한 찬미를 꼭 챙겨야지요.
하느님께서는 악의 유혹을 받으실 분도 아니시고, 또 아무도 유혹하지 않으십니다”(야고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