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2권 이렇게 설명하세요

 
성사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63. 남자교우와 지식층들 가운데서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껴냉담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어떻게 할까요?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거듭 고해를 한들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66. 부끄러운 죄에 대해서는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해서도 사하여 주소서라고 얼버무리게 됩니다이 마음을 주님은 아시겠지요?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68. “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 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교회가 공동 고해를 금하는 이유는 고해는 신자들의 죄를 사해줄 수 있는 권한을 인가받은 사제에게 해야 하며 정당한 이유가 없이예외적으로 적용될 수 없는 까닭에서입니다.
공동고해와 공동 사죄는 중세에 자주 베풀어졌지만 중하고 스캔들이 되는 죄에 대해서는 공동 사죄에서 유보하여 개별 고해를 거치도록 했습니다.
고해는 온전해야 합니다.
참회자는 성실한 양심성찰 후에 자신이 인식하는 모든 죄를 고해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지금 그 자리에 있는 사제에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기에 우편을 통한 고백과 죄의 사함도 금합니다.
또 고해는 단 한 사람이 한 사제에게만 가능하도록 하여 비밀적이고 청각적이어야 함을 분명히 합니다.
더불어 스스로의 말로 표현해야 합니다. 다만 음성표현이 불가능한 장애인, 임종자 혹은 격한 감정이나 심리적으로 인하여 표현이 어려울 경우에 한하여 몸짓이나 표정, 신호로 가능하고 글로 적는 것이 허락됩니다.
공동고해와 일괄 사죄는 비상시에만 지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교회의 입장은 변함이 없습니다.
현대인에게는 죄를 인정하기보다 감추고 회피하려는 경향이 짙습니다.
많은 이들이 공동고해와 일괄 사죄를 선호하는 것이 이러한 경향에 편승하려는 의도라면 하느님의 뜻에 어긋납니다.
간편한 것은 하느님 사업의 기준이 아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 ​​​​​​​77. 고3입니다. 미사에 빠지지 않기 위해 애쓰지만, ‘공부하지 않는 학생’으로 취급당할 때는 힘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6 42
81 76.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 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문제 14) ​​​​​​​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5 77
80 75. 기도 후에는 꼭 “주님의 이름으로”, 혹은 “예수님을 통하여”라는 말을 붙여야 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4 38
79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 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3 71
78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 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2 65
77 72. 기도의 응답이 꼭 있다고 하셨는데, 하느님의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1 40
76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제 느낌일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9 67
75 70. 간혹 기도 생활이 현실 도피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8 34
74 69. 하느님께 내 소망을 들어주길 기도하는 것과 하느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어떻게 다른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7 32
73 68.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6 27
72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5 28
71 66. 부끄러운 죄에 대해서는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해서도 사하여 주소서”라고 얼버무리게 됩니다. 이 마음을 주님은 아시겠지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4 91
»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 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2 19
69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 거듭 고해를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1 43
68 63. 남자교우와 지식층들 가운데서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껴, 냉담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30 51
67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9 81
66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8 569
65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7 73
64 추천의 글(2008년 대림에 이 홍 기 몬시뇰)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6 13
63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5 50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