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671호 2021.10.03 
글쓴이 가톨릭부산 
레지오 마리애 설립 100주년 특집 (2)

 
<레지오 마리애는 무엇을 하나요?>
 
한국 교회의 대표적인 평신도 단체인 레지오 마리애는 모든 은총의 중재자이자 사령관이신 성모님께서 항상 함께 해주시리라는 강한 믿음으로, 모이면 기도하고 흩어지면 활동을 합니다.
 
언제나 어디서나, 나이와 성별이 달라도, 직업과 환경이 달라도, 사는 곳과 문화가 달라도, 어느 상황에서라도 레지오 마리애의 이름으로 모인 단원들은 먼저 성모님과 함께하는 묵주기도를 통하여 얻은 힘을 매일 살아가는 원동력으로 삼으면서 하느님의 사랑을 생활 속에 실천합니다. 
 
이 사랑의 실천이 바로 활동이기에 어느 누구라도 이 레지오 마리애 안에서 기도와 활동으로 늘 새로워지며, 온 누리가 새롭게 되도록 하여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고자 봉사하는 단체입니다.


 
<성모님과 함께 갑시다.>
 
   “만일 어떤 위기를 맞아 평신도들이 나가 싸워야 할 때, 성모님의 군사라는 이름에 맞갖은 활동에 몸 바쳐온 레지오 단원이 아니라면 나설 사람이 누구이겠는가?”(교본 37장 6절)
 
   레지오 마리애는 코로나 이후를 대비하여 교구의 지침에 순명하면서 24,000여 명의 모든 단원이 힘을 모아 다시금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고자 합니다. 
 
   레지오 마리애 단원 모두는 기존 활동과 더불어, 신앙에 무관심한 젊은이들과 교회에서 멀어진 교우들을 다시 교회로 초대하여 함께 신앙생활을 하기 위해, 단원 1인당 한 분의 쉬는 신자를 교회로 다시 모시고 그분들과 함께 하는 레지오 마리애로 다가오는 코로나 이후를 대비할 것입니다. 
 
       향후에도 교구 사목지침에 맞추어 활동하면서, 레지오 마리애 안에 소년, 청년들도 함께할 수 있는 자리도 더 펼칠 것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성모님을 당신의 은총을 전달하는 특별한 수단으로 삼으신 것을 믿기에 우리가 성모님과 더불어 나아간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하느님께 다가가 훨씬 손쉽게 풍성한 은총도 얻을 것입니다. 레지오 마리애는 이와 같은 성모님의 역할을 확신하기에 이제 창설 100년이 지나고 새로이 맞는 새 100년에서 마음을 다시금 추스르고 성모님의 정신을 깊이 새기며 성모님의 군대로 더욱 정진할 것입니다.
 
   성모님을 사랑하는 많은 분들이 이 아름답고 거룩한 성모님의 사업에 함께 해주시길 바랍니다. 우리의 사령관이신 성모님은 언제나 여러분을 기다리십니다. 

 
   “너희가 나를 뽑은 것이 아니라 내가 너희를 뽑아 세웠다.”(요한 15,16)


 
1956년 1월 3일           
부산교구 최초의 쁘레시디움 
‘영원한 도움의 성모’ 설립 (서대신성당, 14명)
1956년 11월 2일
한국에서 5번째로 ‘임마꿀라따’ 꾸리아 설립
(본부 : 초량성당, 쁘레시디움 20개, 
행동단원  208명, 협조단원 194명)
1957년 3월 10일 ‘임마꿀라따’ 꼬미씨움 승격
1978년 11월 10일
‘바다의 별’ 레지아 승격
(본부 : 중앙성당, 꼬미씨움 2개, 꾸리아 23개, 쁘레시디움 380개, 행동단원 4,646명, 협조단원 6,325명)
1979년 ‘한국 천주교회 200만 신자화’ 활동 돌입
1986년
‘한국 천주교회 200만 신자화’ 달성 (2,148,607명, 부산교구 213,663명) 
1992년
‘한국 천주교회 300만 신자화’ 달성 (3,066,733명, 부산교구 295,069명)
2003년 5월 8일 한국 레지오 마리애 50주년 신앙대회
2003년 8월 15일 『한국 레지오 마리애 50년사』 발간
2006년 10월 3일 부산 레지오 마리애 도입 50주년 신앙대회
2008년 『부산교구 레지오 마리애 50년사』 발간
2010년 김범우순교자성지 성모동굴성당 건립 기금 봉헌
2020년 7월 부산 바다의 별 레지아 500차 평의회
[2021년 8월 31일 현재]           
꼬미씨움 29개, 꾸리아 263개, 쁘레시디움 3,083개, 
행동단원 23,647명, 협조단원 16,344명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91 2728호 2022. 10. 23  함께 살아가기 위한 방법 정의평화위원회  11
290 2703호 2022. 5. 1  “『찬미받으소서』와 함께하는 생태영성” 사회교리학교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21
289 2667호 2021.09.05  2021 사회교리학교 심화강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5
288 2589호 2020.03.22  신앙과 세상을 이어주는 사회교리학교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20
287 2563호 2019.10.06  사회교리학교(주제강좌)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7
286 2508호 2018.09.30  2018년 사회교리학교(주제/심화강좌)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81
285 2482호 2018.04.01  ‘사회교리학교’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114
284 2456호 2017.10.15  사회교리학교 - ‘모든 이를 위한 경제정의’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40
283 2431호 2017.04.23  ‘사회교리학교’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37
282 2402호 2016.10.02  "사회교리학교 주제강좌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52
281 2377호 2016.04.10  ‘사회교리학교’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140
280 2231호 2013.08.25  새로운 여정의 시작 ‘ME주말’ 정은주 최진만 부부  49
279 2474호 2018.02.04  영혼을 여는 문, 이콘 그리기 정영란 글라라  231
278 2357호 2015.12.06  예비신학교 하반기 프로그램 독서 감상문 - 『가장 멋진 삶』을 읽고 정수호 사도요한  295
277 2774호 2023. 9. 10  [2023 세계청년대회(WYD) 참가자 수기] Ha Pressa no Ar(아 프레사 누 아) : 서둘러 가보자 file 정수빈 안나  18
276 2114호 2011.07.17  당신을 몰랐더라면... 정성희 마리안나  181
275 2176호 2012.08.26  그대와 나의 속함으로 인하여…… 정경희 페트라  83
274 2433호 2017.05.07  노인대학(어르신성경대학) 1년을 마치고 전흥일 스테파노  99
273 2452호 2017.09.17  순교자 성월을 보내며 전수홍 신부  33
272 2314호 2015.02.08  새 사제 다짐·감사 인사 (2) 전산홍보국  16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