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제 2권 이렇게 설명하세요

 
성사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63. 남자교우와 지식층들 가운데서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껴냉담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어떻게 할까요?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거듭 고해를 한들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66. 부끄러운 죄에 대해서는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해서도 사하여 주소서라고 얼버무리게 됩니다이 마음을 주님은 아시겠지요?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68. “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냉담은 어떤 계기로 생겨난 것이든 하느님과의 관계가 메마른 상태를 말합니다.
영혼이 하느님의 사랑에서 멀어지면 죄에 대한 감각이 무뎌지기 때문에 하느님과의 관계를 단절시키게 됩니다.
그러나 소원했던 관계를 회복하고 이제 나를 사랑하고 기다리시는 아버지께로 돌아가겠다는 자신의 의지를 표현함으로써 화해할 수 있습니다.
고해성사는 진정으로 하느님의 사랑을 느낀 인간이 그 사랑에 충분히 답해드리지 못했던 자신의 삶을 깨닫고 하느님자비의 품에 뛰어드는 일입니다.
돌아가겠다고 생각만 하는 것이 아니라 참으로 돌아와서 아버지의 품에 안기는 일입니다. 죄에 걸려 넘어지고 실망하고 남을 탓하고 원망했던 그 모든 죄를 버리겠다고 다짐하는 자리이며 그 동안 죄의 무게에 힘들고 지친 자신을 예수님께 내어 드리는 행위인 것입니다.
고해성사는 죄의식이나 죄책감을 뼈저리게 느끼라고 주시는 형벌의 자리가 아니라 아직도 나를 사랑하고 기다리시는 하느님께서 손수 펼쳐 놓으시고 손수 사랑의 작업을 펼치시는 사랑의 장소라는 사실을 말씀드립니다.
인간은 죄에서 자유로울 때에 행복합니다.
하느님의 사랑을 깨닫고 아버지의 사랑 안에서 살겠다고 맹세하는 자리, 고해성사에서 쏟아지는 은총은 엄청난 것입니다.
하느님과 그분을 따르는 자녀의 관계를 정상적으로 이어주는 자리이기에 냉담후의 고해성사는 꼭 필요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 106. 복음이 봉독되기 전에 이마와 입술과 가슴에 작은 십자성호를 긋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문제 20)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9 559
361 58. 주일에 혼배미사나 장례미사가 겹쳤습니다. 주일미사를 빠져도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4 462
360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7 432
359 11. 돌아가신 분을 위해서 49재 미사를 봉헌하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1 428
358 104.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문제 19)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7 426
»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8 373
356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8 350
355 102. 본당 신부님께서 “사순시기 동안에는 성모 신심을 비롯한 모든 신심 미사를 금한다.” 하시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5 330
354 333. 레지오 회합에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구원송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9 307
353 50. 예수님의 십자가상 위에 있는 INRI의 뜻이 무엇입니까? (문제 8)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5 307
352 112. 예비신자입니다. 신부님으로부터 마주잡고 기도하는 손 모양이 틀렸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기도는 꼭 손가락을 펴고 오른 쪽 엄지를 위에 두고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6 204
351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4 196
350 55. 주일 미사에는 꼭 참석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1 193
349 여기까지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3 180
348 220. 미사예물을 바치지 않고서도 미사 중에 죽은 영혼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면 연미사가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78
347 185. 예수 성심상이 깨졌습니다. 축성 받은 성물을 그냥 버리면 죄가 된다는 말을 듣고 보니, 겁이 나고 난감하기만 합니다. 예전에 묵주가 파손되어 버린 적이 있는데요. 정말 죄가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62
346 17. 가톨릭 교회가 술이나 담배를 허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7 159
345 181. 본당신부님께서 까만 미사보는 장례 미사용이라 하셨습니다. 그런데도 미사에서 까만 미사보를 사용하는 자매님을 보게 되니 딱합니다. 까만 미사보는 일반 미사용이 아니라는 걸 설명해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50
344 183. 72세의 노인입니다. 옛날에 금육은 네 발 가진 짐승에 한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러면 두 발 달린 닭고기는 가능한가요? 금육에 대한 정확한 규정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144
343 15. 자살한 사람들에게는 교회 장례식이 금지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문제 5)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5 1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