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2이렇게 설명하세요

 
성사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61.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63. 남자교우와 지식층들 가운데서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껴, 냉담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64.
고해를 한 후에도 예전과 달라지지 않는데, 거듭 고해를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 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66. 부끄러운 죄에 대해서는 이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에 대해서도 사하여 주소서라고 얼버무리게 됩니다. 이 마음을 주님은 아시겠지요?
67.
미국의 일부 성당과 개신교에서 온라인 고해성사가 가능하다는데 정당합니까?
68. “
죄 짓더라도 성사보면 된다고 생각하는 그리스도인이 역겹다는 비아냥에 지혜롭게 답하고 싶습니다.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구약성경에서의 고백은 하느님을 향한 찬미와 감사의 행위입니다.
중세 초기까지 교회의 전례는 하느님의 자비에 감사하고 찬미하는 일에 집중되었습니다. 이후 인간의 구원과 하느님의 용서에 감사하고 찬미하며 자신의 죄를 인정하던 전통을 벗어나, 죄의 고백을 강조함으로 참회의 성사와 고백이라는 말이 동일하게 사용된 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고백성사가 아닌 고해성사로 용어를 바꾼 의미가 깊습니다.
고백이라는 용어는 고해성사의 본질적 요소이지만 자칫 죄에 대한 준엄한 재판적 의미가 강하게 부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죄의 고백은 곧 예배 행위이며 그리스도 안에서 무한히 용서하시는 하느님의 자비로움에 의지하여 죄를 인정하는 신앙행위입니다.
주님 앞에 낮아짐이 마땅한 진리임을 인식하고 변치 않는 진실임을 인정하는 표지입니다. 하느님 사랑만을 향하는 의연한 믿음의 자세입니다.
죄로 인한 병폐를 거부하고 주님께로부터 오는 내적 자유를 갈구하는 모습이기에 아버지께로부터 따뜻한 평화의 키스를 받는 탕자의 행복한 자리가 되지요.
때문에 교회는 성사를 격려하고 독려합니다.
재에 불과한 처지를 고백하는 겸손한 행위로써 진실되이 자신의 죄를 고해하는 사람에게는 사죄와 보속의 치료제가 선물됩니다.
더해서 죄에 저항할 힘, 그리스도를 닮는 지혜, 새 삶을 살아갈 의지까지 덤으로 얻으니 얼마나 감사한지요.

 

문제 11.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11-1) 우리가 지은 죄를 사제를 통하여 하느님께 고하고 용서를 받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에 고백성사(告白聖事)와 고해성사(告解聖事)가 있습니다.
고백성사는 지은 죄를 하느님께 고하는 자백( 自白)의 형태입니다. 따라서 고백은 법정에서 죄를 시인하고 자백하는 것과 같습니다.
고해성사(告解聖事)는 지은 죄를 고()하고 하느님께 용서와 화해를 청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고백성사와 고해성사라는 용어를 같이 쓰는데요. 정확하게 어느 것이 맞습니까?

) 고해성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6
61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1 67
60 76.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 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문제 14) ​​​​​​​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5 68
59 176. "저는 초등학교 6학년에 올라가는 학생이예요. 주보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합니다. 신부님 말씀대로라면 굳이 축성을 받을 필요가 있나요? 축성을 받으면 묵주나 성물들이 성스러워진다고 생각했는데 잘못된 생각인가요? 그러면 축성을 받는 의미는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9
58 6. 나쁜 꿈을 꾸면 종일 언짢아집니다. 꿈 해몽에 집착하는 버릇을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6 70
57 107. 성찬례 중에 신부님께서 성체의 조각을 떼어 성혈에 넣는 것을 봅니다. 왜 그렇게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0 70
»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7 71
55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4 72
54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7 72
53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0 73
52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9 75
51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9 75
50 301.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 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텐데……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5 75
49 311. 세례 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5 75
48 8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 잘못된 것입니까? (문제 17)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9 76
47 270.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 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 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 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76
46 2. 김용옥 씨가 주장하는 '구약성경 폐기론' 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1 78
45 3. 차례나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이 교회법에 어긋나지 않는지요? (문제 2)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2 78
44 7. 가톨릭이 유사종교에 관대한 이유가 무엇인지요? 절에 49재를 부탁하고 템플스테이에 참가하는 일은 괜찮습니까? (문제 4)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7 80
43 342. 묵주 팔찌를 선물하려다가 “묵주기도를 하시려면 묵주 팔찌가 아니라 정식인 5단 묵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묵주 팔찌는 사람의 편리를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 교회에서 정한 준성사라고 할 수 없습니다”라는 인터넷의 글을 읽고 망설여집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8 81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