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실 물 한 잔

가톨릭부산 2021.09.23 10:08 조회 수 : 32

호수 2670호 2021.09.26 
글쓴이 강지원 신부 

마실 물 한 잔

 
강지원 신부 / 연산성당 주임


 
   “너희에게 마실 물 한 잔이라도 주는 이는, 자기가 받을 상을 결코 잃지 않을 것이다.”(마르 9,41)
 
   건네는 이에게는 별것 아닐 수도 있는 물 한 잔이 정녕 목말라 죽어가는 어떤 이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절실한 생명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연민과 사랑의 진심(眞心)이 담긴 한마디의 말과 작은 몸짓 하나가 절박한 누군가를 다시 일어설 수 있게 하는 기적의 힘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반드시 행(行)해야 하는 것입니다. ‘물 한 잔을 줘야 될 텐데’ 하는 생각만 할 것이 아니라, 물 한 잔을 손에 쥐고서 팔을 뻗어 건네줘야 하는 것입니다. ‘도와줘야 하는데’ 하고 마음속으로 생각만 하지 마시고 어떤 방식으로든 실행에 옮겨야 합니다. 책을 읽어서 살 빼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해서 그 순간부터 불어난 몸무게가 저절로 줄어들지 않듯이, 머리로 알고 있고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만으로는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행동으로 옮겨서 실천할 때 비로소 그에 맞는 합당한 결과가 얻어지는 법입니다. 그것이 무엇이 되었든 하느님의 뜻에 맞고 주님의 가르침에서 기인한 선하고 옳은 일이라면 주저 없이 망설이지 말고 행동으로 옮기고 실천해야 합니다. “주님의 말씀을 실행하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말씀을 듣기만 하여 자신을 속이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야고 1,22 참조)
 
   일반적으로 유혹이라 하면 주님 뜻에 어긋나는 나쁜 짓을 하도록 악마가 우리의 마음을 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반드시 해야 할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지 않아도 된다는 소극적인 생각들과 사랑 실천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자기 합리화가 어찌 보면 성숙한 신앙인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하는 악마의 가장 간교한 유혹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큰 죄 짓지 않고 무난하게 신앙생활을 하고 있으니 이 정도면 좋은 신앙인 아닌가 하는 나태하고 안일한 마음이 스스로가 판 가장 큰 함정일 수 있습니다.
 
   나쁜 행위를 하지 않은 것에 만족하지 마시고, 마땅히 해야 할 사랑 실천과 선한 행위를 하지 않은 것을 더 미안해하고 부끄러워해야 합니다. 우리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주님의 제자라면 이제부터라도 소극적인 신앙에서 적극적인 신앙으로, 수동적인 신앙에서 능동적인 신앙으로, 기복적이고 이기적인 신앙에서 이타적인 신앙으로, 이론에서 실천 행으로 변해 가야 할 것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289호 2014.08.31  십자가를 진다는 것 강헌철 신부 
2493호 2018.06.17  하느님 나라 file 강헌철 신부 
2656호 2021.06.20  “아직도 믿음이 없느냐?” file 강헌철 신부 
2323호 2015.04.12  저의 주님, 저의 하느님! 강지훈 신부 
2532호 2019.03.03  선한 마음 file 강지훈 신부 
2722호 2022. 9. 11  찾음, 기다림, 받아들임 file 강지훈 신부 
2154호 2012.04.01  십자가의 어리석음이 하느님의 힘입니다 강지원 신부 
2371호 2016.02.28  포도 재배인의 마음 강지원 신부 
2670호 2021.09.26  마실 물 한 잔 file 강지원 신부 
2072호 2010.10.17  빼앗기지 말아야 할 것, 기도 강종석 신부 
2221호 2013.06.23  평범하면서도 위대한 사람들 강종석 신부 
2426호 2017.03.19  사마리아 여인의 믿음 file 강종석 신부 
2589호 2020.03.22  믿음의 논리, 불신의 논리 file 강종석 신부 
2770호 2023. 8. 13  한시도 나에게서 눈을 떼지 않으시는 그분 file 강종석 신부 
2312호 2015.01.25  참으로 회개하지 않고서는 강정웅 신부 
2524호 2019.1.6  동방박사들처럼 예수님만을 바라보며 file 강정웅 신부 
2713호 2022. 7. 10  그렇게 하여라 file 강정웅 신부 
2554호 2019.08.04  나눗셈(÷)과 나누기 file 강인구 신부 
2738호 2023. 1. 1  “응, 엄마~” file 강인구 신부 
2313호 2015.02.01  치유, 하느님의 선물 강우현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