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 재의 수요일과 성금요일에 단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Sep 20,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이렇게 설명하세요

 

전례(미사)

 

50. 예수님의 십자가상 위에 있는 INRI의 뜻이 무엇입니까? (문제 8)
51. “우리의 파스카 양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다”(1코린 5, 7)라는 말씀의 파스카는 무슨 의미입니까?
52.
영세한 사람은 모두 구원받습니까? (문제 9)
53.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문제 10)
54. 재의 수요일과 성금요일에 단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 주일 미사에는 꼭 참석해야 하나요?
56.
주일에는 미사에만 참석하면 의무를 다하나요?
57.
미사에 참례할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는 어떤 경우를 말하는지요?
58. 주일에 혼배미사나 장례미사가 겹쳤습니다. 주일미사를 빠져도 됩니까?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54. 재의 수요일과 성금요일에 단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성경을 보면 단식의 유래가 깊습니다.
단식은 하느님께 바치는 호소인 동시에 하느님을 향한 경외심의 표현이었으니까요.
국가적인 회개의 시기(1사무 7,5)와 국가 재난의 때(1사무 31,11)에 거국적인 행사였던 단식은 다윗에게 슬픔의 표현이었고,
염려가 깊었던 다니엘에게 기도의 도구였으며
에스테르는 하느님을 향한 긴박한 호소의 표현입니다
.
모세가 십계명을 받기 전에 단식했던 일과 공생활을 앞두신 예수님께서 단식하신 일은 가장 대표적인 예이지요.
이런 면에서 단식의 참 의미는 삶의 욕심을 잘라내는 행위이고 자신의 죄를 깊이 인식하는 참회입니다.
마음을 깨끗이 하여 삶의 가장 소중한 양식인 하느님의 뜻(요한 4,31-34)에 따르고 싶다는 겸허한 고백인 것입니다. 더불어 생명의 주인이신 하느님과 친해지고 그분의 뜻에 따라 이웃을 사랑하고 배려하겠다는 믿음의 선언이기에, 단순히 음식을 굶는 행위에 머물지 않고 육신의 먹거리를 조절한 빈자리가 하느님으로 채움 받기 원하는 적극적인 믿음의 행위임을 말씀드립니다.
인류의 첫 사람 아담은 사과 한 알 때문에 실패했습니다.
새 세상의 첫 사람 노아는 술에 취해서 실수합니다.
생명의 근원이신 하느님을 잊은 채 먹고 마시는 행위는 독이 되는 것을 말해 줍니다.
끼니를 거른 내 안에 성령이 가득하기를 기도하신다면 하느님께서 기뻐하시는 단식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