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2이렇게 설명하세요

 

전례(미사)

 50. 예수님의 십자가상 위에 있는 INRI의 뜻이 무엇입니까? (문제 8)

51. “우리의 파스카 양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다”(1코린 5, 7)라는 말씀의 파스카는 무슨 의미입니까?

52. 영세한 사람은 모두 구원받습니까? (문제 9)

53.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문제 10)

54. 재의 수요일과 성금요일에 단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 주일 미사에는 꼭 참석해야 하나요?

56. 주일에는 미사에만 참석하면 의무를 다하나요?

57. 미사에 참례할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는 어떤 경우를 말하는지요?

58. 주일에 혼배미사나 장례미사가 겹쳤습니다. 주일미사를 빠져도 됩니까?

59. 주일미사에서는 봉헌을 하는데 평일에는 왜 봉헌을 하지 않습니까?

 

53.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교회는 한 해의 전례 안에서 구원의 신비 전체를 기념합니다.
성탄과 부활이라는 소중한 구원사건을 기념하기 위해서 교회는 성탄을 앞두고 대림시기를 갖고 부활 전에는 사순 시기를 두어서 기쁨의 부활을 준비하도록 돕습니다
사순 시기의 첫 날인 수요일에 단식과 금육재를 명하고 재를 머리에 얹는 예식을 거행하는 일은 56세기경부터 유래하는데 이는 거친 천으로 만든 참회복을 입고 머리에 재를 뒤집어쓴 채 죄를 뉘우치고 슬퍼하던 유대인들의 참회 의식에 따른 것입니다.
신자들에게 뿌릴 재를 얻기 위하여 지난해의 성지가지를 태우는 규정은 12세기에 이르러 시행되었는데 이제 이 예식은 신자들의 신심 생활 안에 중요한 전례 행위로 자리하였습니다
재를 받는 예식은 주님의 도우심 없이는 올바른 삶을 살 수 없는 재와 같은 인간의 나약성을 인정하는 고백인 까닭이고, 주님의 은총으로 마음이 깨끗이 되기를 원하며 악습을 고쳐서 성덕을 갈망하는 기도이기 때문입니다.
즉 죄인을 부르시고 기다리시는 하느님께 죄인임을 고백해 드리고 예수님의 부활에 참여하기를 소망하는 아름다운 모습이지요.
사순 시기의 참된 의미는 고통스럽게 괴로움을 참는 시기가 아니라 약속된 구원과 부활을 감사하고 하느님을 향한 기쁨으로 가득한 은총의 때임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10.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10-1) 재의 수요일은 사순시기가 시작되는 첫날입니다.
이날 교회에서는 지난해 성지 주일에 축성한 성지 가지를 태운 다음, 사제가 그 재를 신자들에게 십자가를 그으며 얹는 예절을 행합니다. 재라는 물건이 타다 남은 잔재입니다. 인간이 범한 죄의 잔재로 그 죄에 대한 보속을 상징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순시기 동안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 참회와 보속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334. 그 뜻이 ‘크게 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0 45
261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 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 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 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 (문제 44)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45
260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 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3 45
259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 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3 45
258 51. “우리의 파스카 양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다”(1코린 5, 7)라는 말씀의 ‘파스카’는 무슨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6 45
257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4 45
» 53.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문제 10)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8 44
255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9 44
254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3 44
253 322. 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 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 하루 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부탁을 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6 43
252 80. 하느님은 사랑이신데 굳이 지옥을 만드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0 43
251 8. 판단하지 말라는 말이 불의한 일에도 적용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8 43
250 344.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 저런 분을 겪으면서 이제는 “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 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신자들이지 않습니까? 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을 것 같아 건의 드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0 42
249 230. 미사전례 중 사람이 쓰러졌는데도 계속 미사만 진행하는 모습에 실망했습니다. 잠시 중단하고 환자를 배려하는 게 도리가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42
248 164. 견진 성사 때에 세례명을 바꿀 수 있다는데 가능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42
247 124. “이미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셨는데 왜 가톨릭에서는 굳이 십자고상을 걸어놓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개신교 신자의 질문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문제 25)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1 42
246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8 42
245 278.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41
244 128. 사제와 신부님은 어떻게 다른가요? 평소에 신부님을 부를 때 사제님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6 41
243 91. 묵주기도로 장미꽃을 바친다는 의미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숫자가 정해진 까닭은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2 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