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40. 봉헌자는 빵과 포도주를 봉헌하며 사제에게 절을 하는데 모든 신자들도 절을 해야 하나요?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47. 33회 주님의 기도를 바치면 미사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던데요?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성탄 준비는 하느님 사랑에 감사드리고 사랑을 실천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우선 마련된 강의에 주목하시면 좋겠습니다. 기쁜 성탄을 위해 갖가지 은사가 가득한 자리이니까요개인적으로는 그분을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 글이나 성탄시를 적어 봉헌하는 일도 아름답습니다그분의 사랑이 놀라워서 기쁨과 감사를 바치는 일인 만큼 행복을 체험할 수 있으니까요.
혹은 나자렛에서 베들레헴에 이르는 성가정의 여정을 따라 걷는 묵상을 권해 드립니다. 성탄 열흘 전에 나자렛을 출발하는 마음으로 기도를 시작하여 만삭이신 성모님의 힘겨운 걸음을 도와드리는 마음을 가지십시오.
요셉 성인과 성모님의 형편을 헤아리는 심정으로 작은 희생들을 봉헌하는 것이지요
성탄사흘 전쯤이면 예리코성에 당도하신 그분들의 지친 몸과 부은 발을 감싸드리는 정성으로 기도하게 될 것입니다.
성탄성야에 방을 구하지 못해 속이 타고 입술이 마르는 요셉 성인의 가슴앓이를 느끼기도 할 것입니다.
, 얼마나 가슴 아픈 일인지요. 세상에서 가장 슬픈 사건은 여관에는 그들이 들어갈 자리가 없었던 일입니다. 오시는 아기 예수님을 또 마구간에서 태어나게 할 수는 없습니다.
성탄을 준비하는 우리네 마음이 오롯이 그분께로 향하여 마음 속, 따숩고 포근한 자리를 마련해야 하는 까닭입니다.
세상은 아직도 그분을 외면하지만 사랑으로 기다리는 우리 안에서 아기 예수님은 행복해 하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 1. 하느님의 명칭은 야훼입니까 여호와입니까?(문제 1)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0 118
361 10. 혼배미사 후에 대추나 밤을 던지며 “아들 많이 낳으라.”고 축수하는 폐백 문화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외람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0 62
360 100. 교중(敎中) 미사는 무엇이 다른가요? (문제 18)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2 87
359 101. 성금요일에는 미사 없이 복잡한 전례만 거행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3 48
358 102. 본당 신부님께서 “사순시기 동안에는 성모 신심을 비롯한 모든 신심 미사를 금한다.” 하시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5 331
357 103. 전례의 분향 시기와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6 18
356 104. 성당에 들어갈 때 성수를 찍는 이유와 성수의 유래를 알려 주세요.(문제 19)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7 428
355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8 66
354 106. 복음이 봉독되기 전에 이마와 입술과 가슴에 작은 십자성호를 긋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문제 20)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9 561
353 107. 성찬례 중에 신부님께서 성체의 조각을 떼어 성혈에 넣는 것을 봅니다. 왜 그렇게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0 70
352 108. 성체와 성혈이 거행될 때, 대부분 고개를 숙이거나 간혹 오래된 신자나 연세가 드신 분들 중에 성체, 성혈을 바라보며 무어라고 중얼중얼 말하는 것을 봅니다. 어떤 자세가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2 104
351 109. 본당 신부님에 따라서 전례방식이 달라지니, 그때마다 혼란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3 45
350 11. 돌아가신 분을 위해서 49재 미사를 봉헌하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1 429
349 110. 성시간의 의미와 자세를 알고 싶어요. (문제 21)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4 113
348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5 63
347 112. 예비신자입니다. 신부님으로부터 마주잡고 기도하는 손 모양이 틀렸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기도는 꼭 손가락을 펴고 오른 쪽 엄지를 위에 두고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6 206
346 113. 지난 5월 21일 대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교회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문제 22)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7 17
345 114. 식당에서 외인들과 식사할 때, 혼자서 십자성호를 긋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마음 속으로만 기도하면 안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9 136
344 115. 주일 헌금 봉사자입니다. 십여 년 동안 똑같은 헌금액수가 심히 민망합니다. 주일헌금에 관한 적절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문제 23) 월평모힐라리오 2021.11.30 128
343 116. 지난 호, 신부님의 주장은 주일헌금을 10만원씩 내자는 것이 아닌지요? 예수님께서 부자의 헌금보다 과부의 두 렙돈을 더 칭찬하셨다는 걸 잘 아실 줄로 믿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1 2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