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40. 봉헌자는 빵과 포도주를 봉헌하며 사제에게 절을 하는데 모든 신자들도 절을 해야 하나요?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47. 33회 주님의 기도를 바치면 미사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던데요?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두 번입니다.
첫 번째 영성체는 영성체할 기회가 있을 때, 예를 들어 병자성사 때 혹은 미사 없이 말씀의 전례 중에 가능하지만 합당한 영적 준비가 필수입니다.
그러나 두 번째 영성체는 반드시 미사 중에만 허용됩니다.
혼배 미사, 장례 미사를 구별하지 않지만 온전히 참여하는 경우에 한합니다교회는 한 번 성체를 영한 신자일지라도 같은 날 다른 미사에 참여할 경우 영성체할 것을 권합니다.
하지만 미사 참례 때마다 성체를 모실 수는 없습니다. 미사참례의 수와 무관하게 하루 중에 두 번만 성체를 영할 수 있는 것이지요.
다만 죽을 위험에 있는 자, 임종하는 자의 경우라면 하루에 몇 번이는 성체를 영할 수 있습니다. 이미 두 번 영성체했더라도 죽을 위험에 처한 경우라면 당연히 병자성사뿐 아니라 영성체까지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성사를 베푸는 목적은 그리스도와의 일치에 있으며, 그 일치는 영원한 구원에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한 것이지요.
참고로 교회법 제917조는 성체를 이미 영한 이라도 같은 날 자기가 참여하는 성찬 거행 중에서만 다시 성체를 영할 수 있다.” 라고 규정하고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죽음의 위험에 처한 경우가 아니라면 하루에 두 번 이상 성체를 영할 수 없지만 성체를 모시는 횟수보다. 나에게 오신 주님과의 일치가 훨씬 중요하다는 사실을 기억하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2 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1 84
321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2 49
320 40. 봉헌자는 빵과 포도주를 봉헌하며 사제에게 절을 하는데 모든 신자들도 절을 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3 82
319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4 46
318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6 54
»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7 435
316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8 351
315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9 32
314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0 65
313 47. 33회 주님의 기도를 바치면 미사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던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1 132
312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3 13
311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4 197
310 50. 예수님의 십자가상 위에 있는 INRI의 뜻이 무엇입니까? (문제 8)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5 308
309 51. “우리의 파스카 양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다”(1코린 5, 7)라는 말씀의 ‘파스카’는 무슨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6 45
308 52. 영세한 사람은 모두 구원받습니까? (문제 9)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7 64
307 53.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문제 10)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8 45
306 한 말씀 올립니다 (2008년 안식년 끝자락에 장 재 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9 24
305 54. 재의 수요일과 성금요일에 단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0 53
304 55. 주일 미사에는 꼭 참석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1 195
303 56. 주일에는 미사에만 참석하면 의무를 다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2 6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