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40. 봉헌자는 빵과 포도주를 봉헌하며 사제에게 절을 하는데 모든 신자들도 절을 해야 하나요?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47. 33회 주님의 기도를 바치면 미사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던데요?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실제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과 포도주가 성체와 성혈로 변화되는 것은 성령의 능력입니다.
때문에 사제는 성령의 축성을 기원하며 거룩하신 아버지, 아버지께서는 모든 거룩함의 샘이시옵니다. 간구하오니 ()” 라고 기도를 바치고 빵과 잔에 안수하고 십자가를 그으며 성령의 강림과 축성을 기원합니다.
이어서 현존하시는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예수님께서 최후만찬 때 빵과 잔을 들고 하신 말씀을 그대로 반복하며 축성문을 읽으면, 봉헌된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축성되고 그리스도인의 생명양식으로 변화됩니다.
이는 미사의 핵심이며 절정인 까닭에 성체 축성과 성혈 축성이후에 사제는 성체와 성혈을 받들어 교우들에게 보이고, 교우들은 빵과 포도주의 형상 안에 실제로 현존하시는 주님을 바라보며 경배 드립니다.
하지만 그보다 훨씬 큰 신비는 성체 안에 일치함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이 신격화된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성체와 성혈을 모신 신앙인들은 그분의 몸을 갖고 그분과 똑같은 피로 변화되어 그리스도를 모시고 그분을 알리는 자격을 얻으니까요.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하는 존재로 변화 받는 일, 땅에 살고 있지만 이미 천상의 것을 추구하도록 불리움을 받았다는 사실이야말로 예수님께서 지녔던 품격과 사랑의 언행을 살게 합니다.
그리스도인이 항상 기쁜 삶을 살 수 있는 원동력은 내 안에 살아계신 그분의 힘이며 덕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2 180. 미사 중에 바치는 주님의 기도에는 왜 ‘아멘’을 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54
»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6 54
280 345. 성당에 다니고 싶어서 사무실로 문의하니까 “교리반 모집이 끝났으니 다음에 오라”고 하더랍니다. 너무 답답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21 53
279 54. 재의 수요일과 성금요일에 단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0 53
278 20. 신앙학교가 영어캠프와 겹쳤다고 핑계를 대는 아이를 잘 설득하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1 53
277 203. 하루 중에 묵주기도를 10단~20단 정도 바치고 있습니다. 대략 5~6번에 나누어 바치고 있는데 이어 기도할 때에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52
276 199. 지각했습니다. 성체를 모시러 나갔다가 신부님께 꾸중을 들었습니다. 늦어서 자격이 없다고 거절당했습니다. 미리 와서 준비하지 못한 잘못보다 너무 부끄럽고 창피해서 미사에 가지 못하겠다는 생각만 듭니다. 독서가 끝나기 전에 가면 영성체를 할 수 있지 않나요? ​​​​​​​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52
275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2 51
274 296.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50
273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2 49
272 19. 아이에게 주일미사 참례와 매일 기도할 것을 가르칩니다. 굳이 여름 신앙학교에 보내야 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0 49
271 217. 사순 시기라도 주일은 작은 부활이라 십자가의 길 기도를 하지 않는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신자들이 주일날 바쳐도 신부님과 수녀님께서 묵인하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48
270 101. 성금요일에는 미사 없이 복잡한 전례만 거행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3 48
269 74. 끊임없이 기도하라 하셨는데, 하루 종일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에 조언을 구합니다.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3 48
268 16. 아파트 부녀회가 ‘아파트 가격 담합’을 제안하는데 거부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6 48
267 14. 성덕의 삶은 평신도에게는 너무 어렵습니다. 교회가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닌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4 48
266 83. 하느님의 아들을 키우신 요셉성인의 성품이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3 47
265 63. 남자교우와 지식층들 가운데서 고해성사에 부담을 느껴, 냉담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30 47
264 12. 전교하기 위해서 힘껏 돕고 사랑했던 이웃에게 냉대를 당하고 보니 너무 실망스럽습니다. 그만두어야겠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2 47
263 289. 원하지 않은 이혼으로 힘들었지만 신앙 안에서 위로를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본당 활동도 열심히 했지요. 그런데 의견 차이가 생기자, 함께 봉사하던 분이 “이혼한 여자가 감히 신성한 제대 봉사를 한다”고 제 이혼 사실을 소문냈습니다. 이혼녀는 본당 활동을 못합니까? (문제 44)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46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