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40. 봉헌자는 빵과 포도주를 봉헌하며 사제에게 절을 하는데 모든 신자들도 절을 해야 하나요?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47. 33회 주님의 기도를 바치면 미사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던데요?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성체께 대한 존경과 영성체를 위한 마음의 준비를 위해서 최소한 영성체 한 시간 전부터 음식물을 먹지 않는 공심재는 공복재(空腹齋)라고도 합니다.
자정부터 음식뿐만 아니라 물 한 방울도 마실 수 없었던 엄격한 규정은 1953년까지 실행되었던 교회의 오랜 전통이었습니다.
이후, 신자들에게 자주 영성체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목적 배려로써 성체를 영하게 되는 한 시간 전부터 물과 약 이외의 식음을 삼가 하도록 규정이 고쳐졌습니다. 다만 노인들과 병약자 그리고 그들을 간호하는 이들은 비록 한 시간 이내에 음식을 조금 먹었더라도 성체를 영하도록 권합니다.
또 같은 날 두 번 이상 미사를 거행하는 사제에게도 미사 거행 사이에 한 시간의 간격을 갖지 못할 경우라면 약간의 요기를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교회법은 언제나 최대의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것을 요구합니다. 때문에 성체에 대한 존경심에서 우러나와서 공심재를 지키려고 노력하는 마음은 아름답습니다.
성체에 대한 사랑과, 성체를 우리의 양식으로 주시는 하느님의 사랑에 감사하는 마음을 가진다면 그 정도의 희생은 기쁘게 감수할 수 있는 일이니까요.
하지만 무엇보다 우리의 욕심, 미워하는 마음, 질투심, 이기심 등 예수님이 바라시는 삶이 아닌-마음을 비우는 참된 '공심(空心)’ 이 더 중요하다는 것도 잊지 마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2 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1 84
»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2 49
320 40. 봉헌자는 빵과 포도주를 봉헌하며 사제에게 절을 하는데 모든 신자들도 절을 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3 82
319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4 46
318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6 54
317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7 435
316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8 351
315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09 32
314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0 65
313 47. 33회 주님의 기도를 바치면 미사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던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1 132
312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3 13
311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4 197
310 50. 예수님의 십자가상 위에 있는 INRI의 뜻이 무엇입니까? (문제 8)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5 308
309 51. “우리의 파스카 양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다”(1코린 5, 7)라는 말씀의 ‘파스카’는 무슨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6 45
308 52. 영세한 사람은 모두 구원받습니까? (문제 9)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7 64
307 53. 재의 수요일에 머리에 재를 뿌리는 예식의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문제 10)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8 45
306 한 말씀 올립니다 (2008년 안식년 끝자락에 장 재 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9 24
305 54. 재의 수요일과 성금요일에 단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0 53
304 55. 주일 미사에는 꼭 참석해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1 195
303 56. 주일에는 미사에만 참석하면 의무를 다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2 6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