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Sep 02,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40. 봉헌자는 빵과 포도주를 봉헌하며 사제에게 절을 하는데 모든 신자들도 절을 해야 하나요?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47. 33회 주님의 기도를 바치면 미사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던데요?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성체께 대한 존경과 영성체를 위한 마음의 준비를 위해서 최소한 영성체 한 시간 전부터 음식물을 먹지 않는 공심재는 공복재(空腹齋)라고도 합니다.
자정부터 음식뿐만 아니라 물 한 방울도 마실 수 없었던 엄격한 규정은 1953년까지 실행되었던 교회의 오랜 전통이었습니다.
이후, 신자들에게 자주 영성체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목적 배려로써 성체를 영하게 되는 한 시간 전부터 물과 약 이외의 식음을 삼가 하도록 규정이 고쳐졌습니다. 다만 노인들과 병약자 그리고 그들을 간호하는 이들은 비록 한 시간 이내에 음식을 조금 먹었더라도 성체를 영하도록 권합니다.
또 같은 날 두 번 이상 미사를 거행하는 사제에게도 미사 거행 사이에 한 시간의 간격을 갖지 못할 경우라면 약간의 요기를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교회법은 언제나 최대의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것을 요구합니다. 때문에 성체에 대한 존경심에서 우러나와서 공심재를 지키려고 노력하는 마음은 아름답습니다.
성체에 대한 사랑과, 성체를 우리의 양식으로 주시는 하느님의 사랑에 감사하는 마음을 가진다면 그 정도의 희생은 기쁘게 감수할 수 있는 일이니까요.
하지만 무엇보다 우리의 욕심, 미워하는 마음, 질투심, 이기심 등 예수님이 바라시는 삶이 아닌-마음을 비우는 참된 '공심(空心)’ 이 더 중요하다는 것도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