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Sep 01,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40. 봉헌자는 빵과 포도주를 봉헌하며 사제에게 절을 하는데 모든 신자들도 절을 해야 하나요?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47. 33회 주님의 기도를 바치면 미사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던데요?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제대는 제사장이고 제물이며 살아 있는 돌(1베드 2,4 참조)입니다.
나아가 모퉁잇돌(에페 2,20 참조)이라 하였지요. 주님의 죽으심과 부활을 기념하는 미사가 거행되는 제대는 예수님께서 이루신 십자가의 희생 제사가 재현되는 갈바리아 산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정갈한 두 겹의 흰 보를 덮어 제대와 제물의 순결을 기리고, 성체와 성혈에 대한 경외와 존경을 표하고 있는데 흰 보는 주님의 시신을 염했던 포를 상징합니다.
이렇듯, 제대는 하느님의 모든 백성이 다 함께 성찬을 거행하는 주님의 식탁입니다. 밀떡이 성체화 되는 신비가 이루어지는 곳, 그 성체를 받아 모신 신앙인이 모두 하나인 거룩한 교회로 형성되는 은혜를 이루시는 성심의 현장입니다.
모든 신앙인들이 세상의 제물이 되신 그리스도의 몸을 중심으로 모여서 파스카의 신비를 기념하고 그리스도의 말씀과 성체의 음식을 나누어 먹는 곳이 제대인 것이지요.
그로부터 일치와 형제애의 원천, 기도와 감사의 중심이 이루어지기에 하느님께서 마련하신 기쁨의 식탁이며 친교와 평화의 장소입니다.
제대는 구원의 표지이며 주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표시이기에 성당 건축의 중심점이자 미사의 중심 장소입니다.
제대는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몸을 상징하는 더없이 귀한 자리이기에 제대를 향해 인사하는 것이 옳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