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Aug 31,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40. 봉헌자는 빵과 포도주를 봉헌하며 사제에게 절을 하는데 모든 신자들도 절을 해야 하나요?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47. 33회 주님의 기도를 바치면 미사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던데요?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하느님께서는 너그러우시니까 늦게라도 미사에 오는 것을 기특해 하시겠지요.
하지만 미사에 집중하고 싶은 입장에서는 분심이 들기 십상입니다.
저는 미사에 앞서서 항상 30분 전에 미사를 위한 마음가짐을 갖추고 미사에 임합니다. 고해성사를 위한 목적도 있지만 간혹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본인의 마음가짐도, 주어지는 은총도 분명히 다르다는 사실을 체험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몸과 피로 한 혈육, 한 피붙이, 한 핏줄, 일심동체의 가족이 된 우리들이기에 사정이 있어 늦게 온 사람이 있다면 너그럽게 대하는 마음도 필요합니다.
주님의 잔치는 자비의 성사이자 일치의 표징이며 사랑의 고리이니까요. 이러한 미사의 정신을 깨닫고, 영성체를 통하여 주님의 구원 제사에 보다 완전하게 참여하게 되시기 바랍니다
그분과 일치하고 형제들과 일치하는 일을 통해서 우리는 영원한 생명을 보장 받습니다. 무엇보다 하느님을 뵈옵기 위한 미사를 위해서 미리 미리 성전에 들어가 준비하는 모습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미사는 주님의 몸과 피를 음식으로 먹고 마시는 식사 예식인 만큼 큰 죄가 없다면 늦게 오셨더라도 성체를 영하시기를 권합니다. 가족 중에 누가 늦게 왔다고 밥을 주지 않는 경우는 없으니까요.
하지만 될 수 있으면, 말씀의 전례에 참례해야 합니다. 말씀의 전례와 성찬의 전례는 결코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