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1이게 정말 궁금했어요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38. 독서하러 나갈 때 왜 제대에 인사를 하는지요? 감실을 향해 절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까?

39. 요즘에는 공심재(空心齋)를 지키지 않는 신자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40. 봉헌자는 빵과 포도주를 봉헌하며 사제에게 절을 하는데 모든 신자들도 절을 해야 하나요?

41.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본당마다 다른데, 교회가 지향하는 평화의 인사는 어떤 것인지요?

42. 성찬의 전례 중에 밀떡이 성체로 변화되는 시점이 알고 싶습니다.

43. 하루에 몇 번 성체를 영할 수 있나요?

44. 미사보를 쓰지 않고 성체를 모시면 성사를 봐야합니까? 미사 중에 안 써도 된다는데 어느 쪽이 옳은가요?

45. 어린이에게 성체를 대신해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는 일이 옳은가요?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47. 33회 주님의 기도를 바치면 미사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던데요?

48. 성탄을 잘 맞이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49. 구유 경배를 드리는 의미와 경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좋은 지적입니다. 흔히 예식이나 모임을 위해서는 외모를 근사하게 꾸미면서 미사를 위해서는 전혀 무감각하다면 딱하고 그릇된 자세이지요.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심중을 보십니다. 하지만 정성을 쏟는 마음가짐은 소중합니다최고의 어른을 뵙는 자리, 그 말씀을 사모하는 시간, 심지어 그분의 몸을 모시는 영광의 때임을 인식한다면 결코 허술하고 단정치 못한 차림으로 미사에 참석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는, 찌는 삼복더위에도 겹겹이 제의를 갖추어 입어야만 미사에 임할 수 있는 사제의 모습으로 충분히 설명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미사는 하느님을 찬미하는 마음으로 감사를 바쳐 올리는 자리인 만큼 말끔하고 단정한 복장으로 그분께 예우를 표하는 것이 옳습니다.
자연은 우리에게 그분께서 얼마나 아름다움을 사랑하시는지를 보여줍니다. 성경이 전하는 모세와(탈출 28장 참조) 다윗에게(1역대 28,19 참조) 일러주신 세세한 지침들도 하느님의 세련되고 뛰어난 감각을 깨닫게 합니다멋진 아버지의 자녀답게 끼끗하고 단아한 모습을 세상에 보여주는 그리스도인이 되어야지요.
칼릴지브란은 보이지 않는 것은 사랑이 아니다.” 라고 했듯이, 마음과 모습을 정성껏 다듬어서 하느님께 사랑을 보여드리면 좋겠습니다.
물론 이것이 비싸고 화려한 복장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쯤은 잘 아시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2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1 67
301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8 66
300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5
299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제 느낌일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9 65
298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0 65
297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 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6 65
296 52. 영세한 사람은 모두 구원받습니까? (문제 9)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7 64
295 210. “사람의 아들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모두 용서받을 것이다. 그러나 성령을 모독하는 말을 하는 자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루카 12,10)라는 말씀이 어렵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63
294 182. 금육을 잘 지키고 싶습니다. 금육을 철저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달걀이나 우유도 먹지 말아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3
293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5 63
292 56. 주일에는 미사에만 참석하면 의무를 다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2 63
291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4 63
»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8 62
289 10. 혼배미사 후에 대추나 밤을 던지며 “아들 많이 낳으라.”고 축수하는 폐백 문화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외람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0 62
288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 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2 61
287 142. 사제를 마음 속으로 사랑하는 것도 잘못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31 59
286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 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58
285 85. 교무금의 정확한 의미를 가르쳐주세요. (문제 16)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6 57
284 장재봉신부님의 소곤소곤 가톨릭부산 2021.07.19 57
283 9. 뉴에이지 운동이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9 5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