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한마디로 천상교회(천국과 연옥)와 지상교회가 서로 도와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교회의 바탕은 하늘이기에 땅과 연옥까지도 아우른다는 뜻입니다.
우리들이 바치는 미사가 하늘과 땅이 서로 교통하는 신비임을 말하고 서로 영신적인 보화까지도 주고받는 복된 자리임을 밝히는 표현입니다.
미사가 땅에 살고 있는 우리들만의 것이 아니라, 하늘의 성인과 연옥에서 정화중인 영혼들과도 함께 한다는 사실을 드러내는 공동체적 고백이기도 합니다.
더불어 성인들의 전구로 도움을 얻는 일과 죽은 이들을 위해서 은사를 나누어 주는 일이 가능한 사실을 믿는 기도입니다.
땅에서 바치는 미사에 천상교회가 함께 하는 신비야말로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진 가장 큰 은총입니다. 인간이 삶에 좌절하고 혼돈스러울 때, 모든 상처를 치유 받는 능력의 현장임을 뜻하니까요.
미사를 통해서 하느님의 자비에 의지하는 일이야말로 얼마나 대단한 작업인지요?
이제 '모든 성인의 통공' 이란 죽음도 갈라놓을 수 없는 영적인 교류의 통로라는 사실을 기억하십시오.
정의의 하느님께서 나의 하찮은 공로조차도 귀하게 여기시며 한 영혼을 구하시는 빌미로 삼아주십니다. 정말 신바람나는 일이지요.
모든 성인의 통공으로 도움을 얻는 일은 오직 가톨릭만이 가진 특별한 보화인 만큼 많이 자랑하고 흠뻑 누릴 일입니다.
좋으신 주님과 교회의 풍요로움을 널리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될 테니까요.

 

문제 7.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7-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은 한마디로 천상교회(천국과 연옥)와 지상교회가 서로 도와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교회의 바탕은 하늘이기에 ()()까지도 어우른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   ) ① ②에 들어갈 말은 무엇입니까?

) 연옥

 
7-2) 천상의 성인에게 지상의 자신을 위해 기도해 달라고 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옥에 있는 영혼을 위한 우리의 기도가 하느님을 통해 전달됩니다.
이처럼 기도나 선행의 공로가 당사자에게만 아니라, 천국이나 연옥의 다른 이에게도 성인을 통하여 전달됩니다. 이 통공을 무엇이라 합니까?

) 모든 성인의 통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316. 지는 게 싫었고 능력 있는 친구를 보면 미웠고 이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예능전공이라서 의사 친구들보다 못한 처지로 살게 되다니, 하느님은 너무 불공평합니다. 하느님께서 옆에 있음 진짜 한 대 확 때리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20 14
241 315. 마음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 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 마음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 혹시 죄가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9 17
240 314.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 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이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 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 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8 15
239 313. 2021년은 김대건 신부님 탄생 200주년으로 희년이 선포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희년을 잘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7 5
238 312. 코로나19로 마음이 불안합니다. 성당에 가는 것도 두려워 방송미사로 대체하는데 안전하고 편리하며 다양한 강론도 듣게 되어, 마음이 윤택해지는 기분입니다. 점점 더 성당에 갈 마음이 사라지는 것 같지만 이렇게라도 신앙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그릇된 것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6 11
237 311. 세례 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5 75
236 310. 그저 착하게 살면 되지 주일마다 성당에 가는 것은 형식적인 신앙생활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4 19
»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4 63
234 309. 왠지 하느님께서는 저를 용서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3 20
233 308. “정말로 성사로 모든 잘못이 없어집니까? 그리고 그런 사람도 안고 가야 합니까?”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불의도 죄라고 했습니다. 먼저 상대편에게 용서를 구한 후에 하느님께 사함을 청하는 것이 순서라고 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2 10
232 307.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1 21
231 306. 사도신경에 “죄의 용서와 육신의 부활을 믿으며”라는 구절이 있는데 육신의 부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 왜 육신의 부활이라고 표현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차라리 영혼의 부활이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0 12
230 305.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 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뺀 적이 있는데, 사제에게 이 기도문에 대한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9 18
229 304. 예수님께서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던 이스카리옷 유다에 관한 질문입니다. 비록 하느님의 뜻이 아니라 스스로의 판단으로 그릇된 결정을 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영원히 용서로부터 제외된다는 선언이 혹독해 보입니다. “성경에 쓰여진 대로 그리 되려고 일이 일어났다”라는 말씀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운명에 따른다는 의미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8 26
228 303. 예수님은 빵을 많게 하는 능력자신데 왜 제자들이 밀 이삭을 뜯을 만큼 궁핍한 지경에 이르도록 방치하셨을까요? 결국 논쟁에 휘말리셨던 이유가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7 8
227 302.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6 6
226 301.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 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텐데……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5 75
225 300. 창세기에 4,13-16 의하면 아담과 하와 전에 카인을 죽일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것은 뭐라 해석하나요? 아담과 하와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인가요? 아담과 하와가 첫 조상이 아니지 않느냐는 질문에 말문이 막혔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4 14
224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3 20
223 3. 차례나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이 교회법에 어긋나지 않는지요? (문제 2)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2 7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