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한마디로 천상교회(천국과 연옥)와 지상교회가 서로 도와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교회의 바탕은 하늘이기에 땅과 연옥까지도 아우른다는 뜻입니다.
우리들이 바치는 미사가 하늘과 땅이 서로 교통하는 신비임을 말하고 서로 영신적인 보화까지도 주고받는 복된 자리임을 밝히는 표현입니다.
미사가 땅에 살고 있는 우리들만의 것이 아니라, 하늘의 성인과 연옥에서 정화중인 영혼들과도 함께 한다는 사실을 드러내는 공동체적 고백이기도 합니다.
더불어 성인들의 전구로 도움을 얻는 일과 죽은 이들을 위해서 은사를 나누어 주는 일이 가능한 사실을 믿는 기도입니다.
땅에서 바치는 미사에 천상교회가 함께 하는 신비야말로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진 가장 큰 은총입니다. 인간이 삶에 좌절하고 혼돈스러울 때, 모든 상처를 치유 받는 능력의 현장임을 뜻하니까요.
미사를 통해서 하느님의 자비에 의지하는 일이야말로 얼마나 대단한 작업인지요?
이제 '모든 성인의 통공' 이란 죽음도 갈라놓을 수 없는 영적인 교류의 통로라는 사실을 기억하십시오.
정의의 하느님께서 나의 하찮은 공로조차도 귀하게 여기시며 한 영혼을 구하시는 빌미로 삼아주십니다. 정말 신바람나는 일이지요.
모든 성인의 통공으로 도움을 얻는 일은 오직 가톨릭만이 가진 특별한 보화인 만큼 많이 자랑하고 흠뻑 누릴 일입니다.
좋으신 주님과 교회의 풍요로움을 널리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될 테니까요.

 

문제 7.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7-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은 한마디로 천상교회(천국과 연옥)와 지상교회가 서로 도와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교회의 바탕은 하늘이기에 ()()까지도 어우른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   ) ① ②에 들어갈 말은 무엇입니까?

) 연옥

 
7-2) 천상의 성인에게 지상의 자신을 위해 기도해 달라고 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옥에 있는 영혼을 위한 우리의 기도가 하느님을 통해 전달됩니다.
이처럼 기도나 선행의 공로가 당사자에게만 아니라, 천국이나 연옥의 다른 이에게도 성인을 통하여 전달됩니다. 이 통공을 무엇이라 합니까?

) 모든 성인의 통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2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1 67
301 105. 미사의 중심이 제대라면 미사가 없을 때에는 감실에 절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8 66
300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5
299 71. 자신을 위한 기도보다 이웃을 위해서 기도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제 느낌일까요?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9 65
298 46. 미사 예물을 바쳤는데 발표되지 않았다고 사무실에 따지는 경우를 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0 65
297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 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6 65
296 52. 영세한 사람은 모두 구원받습니까? (문제 9) 월평모힐라리오 2021.09.17 64
295 210. “사람의 아들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모두 용서받을 것이다. 그러나 성령을 모독하는 말을 하는 자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루카 12,10)라는 말씀이 어렵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63
294 182. 금육을 잘 지키고 싶습니다. 금육을 철저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달걀이나 우유도 먹지 말아야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3
293 111. 신부님들께서 힘들더라도 죄 많은 평신도들에게 성체를 분배시키는 일은 삼가 해 주기 바랍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5 63
292 56. 주일에는 미사에만 참석하면 의무를 다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2 63
»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4 63
290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8 62
289 10. 혼배미사 후에 대추나 밤을 던지며 “아들 많이 낳으라.”고 축수하는 폐백 문화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외람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0 62
288 73. 기도 방법이 다양하던데요. 가장 좋은 기도를 배우고 싶습니다. (문제 13)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2 61
287 142. 사제를 마음 속으로 사랑하는 것도 잘못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31 59
286 161. 영성체 때 신부님께서 성체를 두개 주셔서 당황했습니다. 성체를 두개 모셔도 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58
285 85. 교무금의 정확한 의미를 가르쳐주세요. (문제 16)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6 57
284 장재봉신부님의 소곤소곤 가톨릭부산 2021.07.19 57
283 9. 뉴에이지 운동이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9 5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