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으로 구원은 예수님의 공로를 고백하는 믿음으로 얻는 하느님의 선물입니다.
다만, 구원을 받은 하느님의 자녀에게는 예수님처럼 사랑으로 비워내고, 상대와 마음의 높이를 맞추는 겸손의 표지가 따릅니다.
그리고 선행과 자선은 구약시대에 이미 하느님으로 부터 십계명과 함께 명령하신 일이기도 합니다.
'
이웃을 위한 배려' 를 명하신 하느님께서는 너희 땅의 수확을 거두어들일 때, 밭 구석까지 모조리 거두어 들여서는 안 된다거두고 남은 이삭을 주워서도 안 된다” (레위 19.9)라고 구체적인 한계를 정해 주셨으니까요. 사각형 밭의 네 귀퉁이를 계산해 보면 21.5% 정도입니다.
이는 내가 얻은 수입의 20% 이상이 가난한 사람들의 몫이라는 뜻이 됩니다.
계산이야 이렇게 뽑을 수 있지만, 사랑의 자선이 어찌 셈되는 수치로 가늠될 일이겠습니까?
예수님의 말씀도 우리에게 필요한 선행의 폭을 깨닫게 해 주는 것이라 믿습니다.우리가 하느님께로부터 받지 않은 것이 무엇입니까?
하느님께서 주신 것을 나누어 쓰는 일이 선행입니다.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자선과 선행의 크기를 기억하신다면 이제 세상에 ''을 끼치는 사람으로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밭모퉁이의 수확물은 가난한 이와 이방인을 위한 것임을 분명히 밝히신 하느님의 뜻에 충실한 일인 만큼 예수님도 기뻐하실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207. 성경이 전하는 난폭하고 잔인한 장면들이 너무 비인간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문명세대에 이렇게 야만적인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야 할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9
241 208. 토빗 12,18의 “날마다 그분을 찬미하고 찬송하여라”는 라파엘 대천사의 당부를 읽으면서, 어떻게 날마다 찬미와 찬송을 드릴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2
240 209. “엘리사는 (…) 주님의 이름으로 저주하였다. 그러자 암곰 두 마리가 (…) 아이들 가운데 마흔 두 명을 찢어 죽였다”(2열왕 2,24)라는 구절의 엘리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9
239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2 51
238 210. “사람의 아들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모두 용서받을 것이다. 그러나 성령을 모독하는 말을 하는 자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루카 12,10)라는 말씀이 어렵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63
237 211. 세례의 은총으로 신앙생활은 충분한데, 굳이 견진을 받아야 합니까? (문제 37)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8
236 212. 성탄절과 다르게 부활절은 매년마다 날짜가 바뀌는데 그 날짜 계산법은 어떻게 되나요? (문제 38)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26
235 213. 김대건 신부님의 축일이 왜 7월 5일인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 주세요. (문제 39)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22
234 214. 예전에는 8월 15일을 성모몽소승천 대축일이라는 말을 사용한 것으로 기억합니다. 몽소의 뜻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9
233 215. 성경에는 성모몽소승천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8
232 216. 대천사들은 실존 인물이 아닌데, 어떻게 축일이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5
231 217. 사순 시기라도 주일은 작은 부활이라 십자가의 길 기도를 하지 않는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신자들이 주일날 바쳐도 신부님과 수녀님께서 묵인하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48
230 218. ‘자비의 예수님’ 성화에는 예수님 가슴에서 붉고 푸른 빛이 나오는 것이 그려져 있는데 어떤 의미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9
229 219. 주일미사 예물 봉헌 시간에 평신도는 예물 봉헌을 하는데 신부님이나 수녀님들은 예물 봉헌을 하는 것을 보질 못했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성직자나 수도자들은 몸과 마음을 주님께 봉헌하셨기 때문이라고 이해를 하고 싶은데 제 생각이 맞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39
228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3 41
227 220. 미사예물을 바치지 않고서도 미사 중에 죽은 영혼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면 연미사가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78
226 221. 하느님께서 죄인을 끝까지 사랑하신다는 점은 이해되지만, 예수님도 사람들의 잘못을 냉정하게 나무라지 않았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5
225 222. 성당을 다니다가 교회를 다니면 ‘냉담자’이지요? 그런데 성당 다닐 때보다 더 열심히 활동하는 동생과 친구를 보면 하느님을 깨닫고 열심히 다니면 되는 것이라 싶네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22
224 223. 일본 쓰나미 사건을 보며 선하신 하느님께서 이 세상을 선하게 창조하셨는데, 왜 이런 대재앙이 이어지고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12
223 224. 하느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시고 우리 아버지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 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