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으로 구원은 예수님의 공로를 고백하는 믿음으로 얻는 하느님의 선물입니다.
다만, 구원을 받은 하느님의 자녀에게는 예수님처럼 사랑으로 비워내고, 상대와 마음의 높이를 맞추는 겸손의 표지가 따릅니다.
그리고 선행과 자선은 구약시대에 이미 하느님으로 부터 십계명과 함께 명령하신 일이기도 합니다.
'
이웃을 위한 배려' 를 명하신 하느님께서는 너희 땅의 수확을 거두어들일 때, 밭 구석까지 모조리 거두어 들여서는 안 된다거두고 남은 이삭을 주워서도 안 된다” (레위 19.9)라고 구체적인 한계를 정해 주셨으니까요. 사각형 밭의 네 귀퉁이를 계산해 보면 21.5% 정도입니다.
이는 내가 얻은 수입의 20% 이상이 가난한 사람들의 몫이라는 뜻이 됩니다.
계산이야 이렇게 뽑을 수 있지만, 사랑의 자선이 어찌 셈되는 수치로 가늠될 일이겠습니까?
예수님의 말씀도 우리에게 필요한 선행의 폭을 깨닫게 해 주는 것이라 믿습니다.우리가 하느님께로부터 받지 않은 것이 무엇입니까?
하느님께서 주신 것을 나누어 쓰는 일이 선행입니다.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자선과 선행의 크기를 기억하신다면 이제 세상에 ''을 끼치는 사람으로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밭모퉁이의 수확물은 가난한 이와 이방인을 위한 것임을 분명히 밝히신 하느님의 뜻에 충실한 일인 만큼 예수님도 기뻐하실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117. 복음이 “형제와 부모를 미워하라”니 의아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3 16
241 143. 하느님께서는 왜 모든 사람을 이쁘게 만들지 않고 저처럼 못난 사람을 섞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1 16
240 162. 퇴장 성가로써 미사가 종료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신자들도 퇴장할 수 있지 않나요? 그런데 영광송으로 다시 마침기도를 바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6
239 198. 신부님께서 성체를 보이며 “그리스도의 몸”이라 하시는데 ‘아멘’이라고 제대로 답하지 않았다고 몇 번이나 “하세요. 하세요”라는 추궁을 당해서 너무 부끄럽고 민망했습니다. 꼭 ‘아멘’이라고 소리를 내서 말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9 16
238 228. 자비심 기도를 바칠 때에 비해서 묵주 기도에서는 자꾸 잡념이 생깁니다. 때문에 자비심 기도를 더 많이 바치게 되는데 괜찮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16
237 250.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납득이 어렵습니다. 교리 선생님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 (문제 42)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6
236 265. 2014년 전례력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3월 4일 연중 제8주간이 화요일에 끝나고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사순 시기에 들어간 것은 이해가 되는데요. 사순과 부활 시기에 이어 시작된 연중 시기, 즉 6월 9일이 연중 제10주간으로 되어 있습니다. 연중 9주간은 어디로 사라졌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6
235 291. 요즘 연예인들의 혼전관계 사실이 공공연히 보도됩니다. 이제 혼전관계는 숨겨야 할 일도 아니고 죄도 아니라는 느낌이 듭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6
234 113. 지난 5월 21일 대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교회의 생각을 알려주세요. (문제 22)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7 17
233 191. 작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합니다. 고해성사 때마다 신부님의 말씀이 들리지 않을까봐 마음이 졸아들고 걱정이 앞섭니다. 글로 대신할 수 없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8 17
232 251. 착하게 살면 되지, 굳이 성당을 가야 하는 형식적 신앙의 강요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7
231 252. 세례 대부님과 연락이 닿지 않으면 견진 대부님을 새로 정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7
230 315. 마음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 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 마음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 혹시 죄가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9 17
229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5 18
228 65. 공동 고해가 편하고 시간도 절약되는데, 금하는 까닭이 무엇입니까? 1 월평모힐라리오 2021.10.02 18
227 82.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문제 15)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2 18
226 103. 전례의 분향 시기와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1.16 18
225 118. 에사우가 야곱에게 맏아들의 권리를 판 것은 잘못이지만 레베카와 야곱이 모의하여 눈먼 아버지 이사악을 속여 장자의 축복을 가로챈 것은 공평과 정의가 아닙니다. 불의를 인정하신 하느님이 의아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5 18
224 121. 성경공부를 권유받고 참석해 보니 ‘신천지’라는 교파였습니다. 가톨릭신자들도 참여하고 있던데 성경을 공부하는 일인 만큼 교파와는 상관이 없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8 18
223 141. 일주일에 한 번씩 봉성체(奉聖體)를 오시는데 너무 자주 오니까 괜히 부담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30 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