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Aug 23,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으로 구원은 예수님의 공로를 고백하는 믿음으로 얻는 하느님의 선물입니다.
다만, 구원을 받은 하느님의 자녀에게는 예수님처럼 사랑으로 비워내고, 상대와 마음의 높이를 맞추는 겸손의 표지가 따릅니다.
그리고 선행과 자선은 구약시대에 이미 하느님으로 부터 십계명과 함께 명령하신 일이기도 합니다.
'
이웃을 위한 배려' 를 명하신 하느님께서는 너희 땅의 수확을 거두어들일 때, 밭 구석까지 모조리 거두어 들여서는 안 된다거두고 남은 이삭을 주워서도 안 된다” (레위 19.9)라고 구체적인 한계를 정해 주셨으니까요. 사각형 밭의 네 귀퉁이를 계산해 보면 21.5% 정도입니다.
이는 내가 얻은 수입의 20% 이상이 가난한 사람들의 몫이라는 뜻이 됩니다.
계산이야 이렇게 뽑을 수 있지만, 사랑의 자선이 어찌 셈되는 수치로 가늠될 일이겠습니까?
예수님의 말씀도 우리에게 필요한 선행의 폭을 깨닫게 해 주는 것이라 믿습니다.우리가 하느님께로부터 받지 않은 것이 무엇입니까?
하느님께서 주신 것을 나누어 쓰는 일이 선행입니다.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자선과 선행의 크기를 기억하신다면 이제 세상에 ''을 끼치는 사람으로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밭모퉁이의 수확물은 가난한 이와 이방인을 위한 것임을 분명히 밝히신 하느님의 뜻에 충실한 일인 만큼 예수님도 기뻐하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