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1이게 정말 궁금했어요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십자가의 길'은 갈바리아 산으로 오르시는 예수님의 마지막 여정을 따라 걷는 묵상의 기도입니다.
14
군데로 구성된 '고통의 길' 인 까닭에 한 단락씩 나누어 묵상되어질 수 없습니다.
십자가의 길은 주님이 나를 위해서 걷고 계신 사랑의 현장이며 실제 상황임을 마음에 새기는 기도입니다.
때문에 예수님의 가뿐 숨소리를 느끼고 고통의 신음에 동참하는 마음으로 바치는 것이 옳습니다.
사모하는 마음 없이 기도문을 읽으며 지나치기에는 밤새워 고문당하고 지쳐 계신 예수님 고통 자욱이 너무나 깊고 선명한 곳이니까요.
부디, 의식적이고 형식적인 경배가 아니라는 사실을 꼭 기억하기 바랍니다.
교회는 예루살렘의 고통의 길을 순례할 수 없는 모든 사람들을 배려하기 위하여 성당이나 경당, 그리고 순례자들의 숙소 안이나 순례지의 바깥에도 마련하고 교회 묘지 등에 설치합니다.
하지만 병자 · 여행자 · 죄수 등 십사처가 설치된 장소에서 기도를 바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기도를 바치고 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특별히 축복된 십자가의 사용을 허용하지요.
그리고 십자가의 길 기도를 바치는 사람들에게는 바칠 때마다 대사가 주어지는 까닭에 교회는 은혜와 대사를 위해서 십사처가 설치된 장소에서 바칠 것을 권합니다.
모두 모두 '십자가의 길'을 통해 새롭게 부활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 261. “가정 복음화의 해”를 맞아 본당에서는 혼인갱신식 참여를 강력히 권합니다. 하지만 성당에서 혼배미사를 올렸고 혼인신고도 마쳤는데 꼭 갱신식을 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입니다. 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짜도 아니고 쑥스럽고 민망스럽기만 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8
181 262. 화답송은 독서대에서 독서자가 하는 것이 전례의 바른 지침이라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전례 때에서 해설자는 없어도 되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9
180 263. 본당 신부님께서 자기 축일에도 미사를 넣는 게 좋다하셨지만 스스로 축복을 받으려는 모습이라 선뜻 내키지 않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22
179 264. 예비신자입니다. 앞으로 신자로서 죄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 (문제 43)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2
178 265. 2014년 전례력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3월 4일 연중 제8주간이 화요일에 끝나고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사순 시기에 들어간 것은 이해가 되는데요. 사순과 부활 시기에 이어 시작된 연중 시기, 즉 6월 9일이 연중 제10주간으로 되어 있습니다. 연중 9주간은 어디로 사라졌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6
177 266. “프리메이슨”이라는 단체가 무엇입니까? 유럽의 교회가 그 영향으로 잘못된 길에 들어섰던 연유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2
176 267.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 들을 수 있을까요? 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 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4
175 268. 개신교 복지관에서는 매일 기도 모임을 갖고 매달 전 직원이 공동예배를 드립니다. 가톨릭 신자로서 그 모임과 예배에 참석은 하지만 따로 기도합니다. 제가 직장을 잘못 선택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1
174 269. 세상을 살아가는데 유혹이 없을 수가 없지 않나요? 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4
»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9 45
172 270.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 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 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 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75
171 271. 우리 조상들의 부엌 신, 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성인이나 본당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8
170 272. 신부님께서 연도(제사)를 망자의 사망일에 맞춰 지내라 하십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제사는 사망 하루 전날에 지내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00
169 273. 제 세례명이 '마리아'인데 저희 아들은 '요셉'입니다. 주위에서 모자의 세례명이 어색하다 합니다. 고쳐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23
168 274. 친정 어머니께서 비르지타 15기도를 열심히 바치십니다. 구원을 약속하신 15인에 ‘사위’도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1
167 275. 신부님 저는 미사 시간에 주로 눈을 감고 집중을 합니다. 그런데 성찬례 때도 눈을 감고 하는데 이것이 틀린 건가 싶어서요. 사실 눈을 뜨고하니 사람들의 움직이는 여러 가지 것들에서 분심이 생기더라구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39
166 276. 타종교인과 대화를 해보면 종교간의 소통은 요원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타 종교인과는 논쟁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3
165 277. 구약의 하느님과 신약의 예수님의 가르침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 구약의 하느님은 악인을 멸하고 그분께 원수되면 모조리 없애는 폭력을 사용하셨는데 예수님은 원수도 사랑하라고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용서해주라고 요구합니다. 동일한 하느님인지 헷갈립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9
164 278.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해서 교회에 가면 성사를 안 봐도 되나요? ‘교회의 법’일뿐이기에 같은 하느님 믿는 개신교의 예배에 참석하면 고해성사를 안 봐도 된다던데, 정말 그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41
163 279. 29세 청년입니다. 늘 지고 양보하고 남을 배려하며 살았습니다. 타협적이고 주체성 없는 모습이라서 싫습니다. 이름 탓은 아니겠지만 새로 시작하는 의미에서 바꾸고 싶은데, 신부님께서 지어주실 수 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2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