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Aug 18,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이런 질문은 솔직히 당혹스럽지만, 궁금한 것을 물어 주심에 감사한 마음도 큽니다.
단답형으로 말씀드린다면 사제는 주일에 일을 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주일에 가장 많은 미사가 봉헌된다는 사실 때문에 사제가 주일에 일을 하는 것으로 오인하신 모양입니다.
하지만 미사는 사제의 '' 이 아니며(마태 12,5 참조) 사제라는 직분은 결코 '직업' 이 아닙니다.
사제는 우리를 사랑하시어 당신 피로 우리를 죄에서 풀어 주셨고, 우리가 한 나라를 이루어 당신의 아버지 하느님을 섬기는 사제가 되게 하신” (묵시 1,6) 예수님 은총에 의한 직분일 따름입니다.
사제의 삶은 세상을 위해서 자신을 봉헌하신 예수님의 대리자의 삶입니다.
때문에 교회 공동체와 하느님의 사랑의 통로가 되는 미사에 사용되는 도구인 셈이지요.
겹치는 미사로 인해서 사제가 피곤하고 힘들 수는 있지만,
미사를 바치는 행위가 사제의 직업이 아니기에 사제에게도 또 다른 일터가 주어집니다.
교구청을 비롯한 교회 여러 기관의 요소요소에서 저희 신부들이 일을 하고 있지요.
본당 신부는 그 관할 지역신자를 관리하는 집무를 맡으신 만큼 본당이 근무처입니다.
집에는 엄마 아빠가 계시지만 그분들의 직업이 엄마와 아빠는 아니지 않습니까?
자식을 낳으면 자연스럽게 부모가 되어 엄마, 아빠가 되지만
그것이 부모님의 직업은 아닌 것과 같은 이치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