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Aug 17,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하느님께 봉헌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사제와 수도자들의 생활은 철저한 금욕과 고행으로 꾸며진다고 생각하는 분이 흔히 계십니다. 때문에 좀 더 경건한 모습을 기대하시기도 하고 또 그렇게 살아주기를 바라십니다.
사실 저희 사제의 입장을 말씀드리면 개인적인 기도 봉헌보다 예수님의 대리자로써 임무를 수행하는 일이 먼저인 경우가 허다합니다.
단잠이 들었을 때 걸려오는 전화를 받고 병자성사를 나가야하는 일이나,
사전 연락 없이 불쑥 찾아오셔서 면담을 청하시는 신자 분들을 맞이하는 일도 소홀할 수없는 사제의 일이기 때문입니다
사랑으로 행하는 일 외에는 모두 헛것임을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만큼 사제는 늘 사랑에 긴장하는 삶을 살고 있다고 표현해 드리고 싶네요.
시간기도인 성무일도를 챙기려 홀로 분주하고,
개인기도시간이나 묵상을 방해(?) 받게 되는 경우에는 속이 상하기도 하지만
사제는 언제 어디서나 청하면 응하셨던 예수님의 삶을 지향합니다
.
저희 봉헌된 자들이 주님을 더 닮을 수 있는 길은 예수님의 마음을 갖는 것입니다. 때문에 예수님의 삶을 기억하면서 최선을 살기 위한 피정이나 휴가로써 요긴한 채움을 받습니다. 물론 여러분께서 바쳐 주시는 기도가 매우 소중한 힘의 원천이기도 하지요.
사제로 살아가는 가장 큰 행복은 저희 사제들의 지킴이가 되어주시는 신자 분들의 기도라는 사실을 고백해 드리면서 고마움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