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교회 안에서 의아했어요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어떤 모습인지 모르지만, 동료 사제로써 용서를 청합니다.
그리고 모든 사제들이 나름대로 최선의 삶을 살고 있다는 사실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사제가 되기 위해서는 하느님의 부르심이 있어야 하고 군 생활을 제외한 7년 동안 신학교 과정을 갖습니다.
짧지 않은 세월 동안 공동체 안에서 스스로 단련하고 심사숙고하며 겪어내는 영적 투쟁은 결코 만만치 않은 것이지요. 그럼에도 하느님 뜻에 순명하여 사제의 길에 응한 후보자의 자질을 검토한 후에야 교회는 성무 사제직에 올립니다.
그리고 하느님을 믿는 일에 사제는 결코 주체가 아닙니다.
믿음은 사제 덕분이 아니며 사제 때문일 수도 없는 것이니까요. 더욱이 사제의 사생활이 성에 차지 않는다는 따위는 결코 믿음의 조건일 수 없습니다.
첫 사제 아론도 허물이 있었습니다. 베드로 사도가 초대교황이 된 것은 결코 완전한 사람이었기 때문이 아닙니다.
설사 마땅치 않은 면모가 보이면 하느님과 신자들을 위해서 목숨을 바치는 사제가 될 수 있도록 더 많이 기도해 주라는 주님의 뜻으로 받아들이면 좋겠습니다. 사제로 서품된 것은 끝이 아니라 험한 갈바리아 십가가 길의 시작입니다. 사제와 교우는 하느님을 향해 쉽지 않은 길을 함께 나아가는 동료입니다.
세례를 받은 그리스도인이라면 누구나 사제입니다. '초록은 동색' 이라는데 서로 서로 아끼는 마음으로 품어주어야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2 254. 세례를 받았을 때의 기쁨이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 인간이 그분의 계명대로 살아갈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0
301 260. 성탄절은 예수님의 실제 탄생일이 아니라던데요. 교회가 예수님의 생일을 엉터리로 기념하는 것 아닙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0
300 284. 중학생입니다. 메스컴의 영향 탓인지 성(性)이 더럽고 역겹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0
299 308. “정말로 성사로 모든 잘못이 없어집니까? 그리고 그런 사람도 안고 가야 합니까?”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불의도 죄라고 했습니다. 먼저 상대편에게 용서를 구한 후에 하느님께 사함을 청하는 것이 순서라고 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2 10
298 92. 신부님의 설명에 의하면 묵주기도의 탄생이 시편이나 주님의 기도를 바치는 데 사용된 것이었다면 성모님과는 썩 깊은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닐까 싶은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03 11
297 120. 믿지 않는 사람들보다 못사는 교우들 탓에 축복의 하느님을 전하기 어렵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모두 잘 살아야 하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7 11
296 146. 예수님께서는 가난하게 살라고 하셨는데 장래를 위해서 저축하는 일은 괜찮은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1
295 160. 곧 세례 받을 날이 다가오는데 교리에 대한 확신이 없습니다. 영세를 미루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1
294 166. 그리스도인은 세례로써 이미 구원을 받았는데, 계속 고해성사를 통해서 죄를 씻어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하느님의 구원이 은총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로 얻어진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11
293 171.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복음 말씀은 자기 자신을 철저히 미워하고 자신을 비하하라는 의미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11
292 205. 교리공부를 할 때 원죄는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범죄(하느님께 대한 교만과 불순명의 죄)로 인하여 생겨났다고 배웠습니다. 곧 “원조 아담이 지은 죄가 원죄라고 한다”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본당 신부님께서는 원조 아담이 범한 죄가 원죄가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 무슨 죄를 원죄라고 하는지, 확실한 답을 잘 모르겠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11
291 257. 죽은 영혼은 심판에 따라서 천국과 연옥 혹은 지옥행이 결정되지 않나요? 그런데 왜 공심판이 또 있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11
290 268. 개신교 복지관에서는 매일 기도 모임을 갖고 매달 전 직원이 공동예배를 드립니다. 가톨릭 신자로서 그 모임과 예배에 참석은 하지만 따로 기도합니다. 제가 직장을 잘못 선택했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1
289 274. 친정 어머니께서 비르지타 15기도를 열심히 바치십니다. 구원을 약속하신 15인에 ‘사위’도 포함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11
288 312. 코로나19로 마음이 불안합니다. 성당에 가는 것도 두려워 방송미사로 대체하는데 안전하고 편리하며 다양한 강론도 듣게 되어, 마음이 윤택해지는 기분입니다. 점점 더 성당에 갈 마음이 사라지는 것 같지만 이렇게라도 신앙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그릇된 것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6 11
287 330. 가경자 최양업 신부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6 11
286 119. 요셉성인처럼 꿈에 천사가 나타나 말씀하신다면, 신앙이 쉽게 자랄 것 같은데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2.06 12
285 125. 완전한 통회를 하지 않아도 고해성사가 유효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12.13 12
284 131. 묵은 신자입니다. 하지만 전례 중에 앉고 일어서는 이유를 모른 채 따라서 합니다. 부끄럽지만 용기를 냈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12.20 12
283 151. 성경에서 유대인들이 사마리아인들을 천대하는 이유가 무엇이지요? 같은 동족이 아닌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1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