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 27일 성녀 모니카 기념일

by 별지기 posted Aug 11,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신랑이 온다. 신랑을 맞으러 나가라.”

 

깨어 있음의 의미를 생각하게 하는 성녀 모니카 어머니의 축일입니다. 아들을 하느님께 봉헌하기 위한 어머니의 긴 희생을 기억하는 날이기도 한 오늘 축일은 우리가 기다리는 하느님의 오심에 대해 살아있는 모범을 알려줍니다.

 

걱정 없는 가정인 듯 보이지만 모든 것이 충족한 이유로 부족함 없이 방탕하게 살아가는 가족들의 회개를 위해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모니카 성녀는 한 생을 삽니다. 그 삶의 마지막 무렵 아들은 결국 하느님께로 돌아섭니다.

 

복음에 등장하는 열 처녀의 비유. 그녀들은 모두 등을 지니고 있었지만 기름에 따라 다섯과 다섯이 나뉩니다. 분명 결혼은 결정되었고 신랑을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밤이 깊어질수록 그나마 가지고 있던 기름들이 소진됩니다. 그 끝에 기름이 있는 이들과 없는 이들이 나뉘어집니다.

 

기다리던 신랑이 오지만 그 자리를 지키지 못한 것은 기회가 없었기 때문이 아니라 준비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오랜 기다림에 지치기도 하고 졸려 잠들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눈을 떴을 때 앞을 볼 수 있고, 갈 길을 비출 수 있는 등불을 지닌 이가 사랑하는 신랑을 볼 수도 함께 갈 수도 있게 됩니다.

 

기름을 어떻게 해석하듯 그것은 신랑을 기다릴 수 있는 믿음의 양, 사랑의 크기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회는 모두에게 주어졌으나 그 기다림에 내용이 어떤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깨어 있어야 하는 이유는 그 분이 우리의 사랑이시기 때문이고, 그 기다림은 사랑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시는 예수님입니다.

 

모니카 성녀가 남편과 아들을 하느님께 봉헌하기 위해 기다린 시간은 평생이었습니다. 아들이 장차 교회에 큰 인물이 될 것을 알고 기대하며 기다린 것이 아니라 아들이 하느님이 알고 바른 삶을 살기를 바란 것, 곧 세상의 참 행복의 길을 알고 방황하거나 혼란스러운 삶을 살지 않고 바르게 살기를 바라며 평생에 모아온 기름을 성녀는 삶의 마지막까지 켜 들었기에 하느님이 마주오셨을 때 아들도 주님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언제나 그분을 보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매일 생명을 나누어 주시는 주님과 하루를 살고 평생을 살며 그 날을 기다립니다. 모르고 기다리는 사람과 알고 기다리는 사람의 삶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그러므로 이 긴 기다림에 설레임을 가질 수 있는 이 길을 성녀처럼 성실하게 걸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