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1이게 정말 궁금했어요

 일상에서 부딪혔어요

 11. 돌아가신 분을 위해서 49재 미사를 봉헌하고 싶습니다.

12. 전교하기 위해서 힘껏 돕고 사랑했던 이웃에게 냉대를 당하고 보니 너무 실망스럽습니다. 그만두어야겠지요?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14. 성덕의 삶은 평신도에게는 너무 어렵습니다. 교회가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닌지요?

15. 자살한 사람들에게는 교회 장례식이 금지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문제 5)

16. 아파트 부녀회가 아파트 가격 담합을 제안하는데 거부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17. 가톨릭 교회가 술이나 담배를 허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19. 아이에게 주일미사 참례와 매일 기도할 것을 가르칩니다. 굳이 여름 신앙학교에 보내야 하는지요?

20. 신앙학교가 영어캠프와 겹쳤다고 핑계를 대는 아이를 잘 설득하고 싶습니다.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어려운 질문입니다.
말씀하신 피할 수 없는 사정이 무엇일지 고민하였습니다.
하느님의 뜻에는 결코 정답이 없다는 사실을 말씀드릴 수밖에 없는 것이, 사제의 한계임을 절감할 뿐입니다.
그럼에도 그분의 사랑과 용서와 화해의 진리가 인간의 생각에 의해서 인간의 편의를 위해 사용될 수는 없다는 사실을 말씀드립니다.
하느님의 뜻과 하느님의 용서는 오직 하느님의 것이기에 그렇습니다.
다만 낙태된 태아가 신생아의 두 배를 넘어서고 있는 현실과 천주교 신자 60%가 낙태를 경험했다는 통계에서 하느님의 뜻을 왜곡하고, 내 편의와 내 사정에만 무게를 두고 살아가는 우리의 잘못된 신앙관을 일깨움 받기 바랍니다.
이는 하느님을 믿는 신앙인들조차 낙태는 살인이다.” 라는 교회 가르침을 외면하고 있는 증거이니까요.
이야말로 신앙을 현실과 별개의 것으로 여기는 결과이기에 참담할 따름입니다.
낙태를 결정하고 실행한 죄를 고해성사로 풀어버리는 간단한 문제로 생각한다면 무엇이든 용서하시는 그분의 사랑을 만용하고 남용하는 고약한 행위입니다.
어느 누구도 이러한 현실에 책임을 회피할 수 없습니다.
낙태를 권장한 자, 낙태를 묵인한 자, 낙태를 실행한 모두가 죄인입니다.
하느님의 뜻을 알면서도 죄를 짓는 일은 주님께서 더 크게 물으십니다.
모두 참회해야 합니다.
참회는 같은 죄를 반복하지 않는 돌아섬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9 81
341 19. 아이에게 주일미사 참례와 매일 기도할 것을 가르칩니다. 굳이 여름 신앙학교에 보내야 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0 54
340 20. 신앙학교가 영어캠프와 겹쳤다고 핑계를 대는 아이를 잘 설득하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1 53
339 21. 교황님의 “가톨릭 외에는 교회가 아니다.” 라는 발언에 대한 개신교 측의 반발이 몹시 당황스럽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2 51
338 22.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3 42
337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4 74
336 24. 본당 신부님의 ‘아닌 모습’ 때문에 신앙에 회의가 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6 69
335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7 77
334 26. 사제는 왜 주일에 일을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8 44
333 27. '십자가의 길'은 십사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만 바쳐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9 49
332 28. “마귀가 마음을 유혹할 때 어떻게 해야 하죠?”라고 물어 왔습니다. 무엇이라고 답을 주어야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0 29
331 29. 대사' 에 대한 말을 들으면 '면죄부' 사건이 떠오릅니다. 오해이지요? (문제 6)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1 21
330 30. 구원은 믿음으로 얻는 것인데, 굳이 선행을 강조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3 20
329 31. 신경에서 말하는 “모든 성인의 통공(通功)” 이 무슨 뜻입니까? (문제 7)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4 64
328 32. 사순 시기에는 회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듣습니다. 회개가 무엇이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5 18
327 33.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①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6 42
326 34. 가계치유 미사를 권유받았습니다. 조상의 죄가 정말 대물림되나요? ②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7 32
325 35. 미사에 참석하는 신자들의 차림새에 정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28 64
324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0 77
323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1 7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