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아파트 부녀회가 ‘아파트 가격 담합’을 제안하는데 거부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Aug 06,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상에서 부딪혔어요

11. 돌아가신 분을 위해서 49재 미사를 봉헌하고 싶습니다.

12. 전교하기 위해서 힘껏 돕고 사랑했던 이웃에게 냉대를 당하고 보니 너무 실망스럽습니다. 그만두어야겠지요?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14. 성덕의 삶은 평신도에게는 너무 어렵습니다. 교회가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닌지요?

15. 자살한 사람들에게는 교회 장례식이 금지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문제 5)

16. 아파트 부녀회가 아파트 가격 담합을 제안하는데 거부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17. 가톨릭 교회가 술이나 담배를 허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19. 아이에게 주일미사 참례와 매일 기도할 것을 가르칩니다. 굳이 여름 신앙학교에 보내야 하는지요?

20. 신앙학교가 영어캠프와 겹쳤다고 핑계를 대는 아이를 잘 설득하고 싶습니다.

 

16. 아파트 부녀회가 아파트 가격 담합을 제안하는데 거부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들도 다 그렇게 하는데라며 방관하는 일은 너그러움이 아닙니다.
이 정도는 누구나 다 하는 일이라고 스스로를 달래는 것은 야합이며 위선일 뿐이라는 사실을 깨닫기 바랍니다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하지 마십시오.
우리는 예수님 뜻을 알고 있습니다.
누구를 위한 담합입니까? 인간의 삶은 오직 하느님 영광을 위하는 일임을 무시하는 것이 죄입니다.
어쩔 수 없었다는 말도 신앙인들이 사용할 말이 아닙니다.
집단 이익만을 위한 담합이라니요? 갑갑하고 답답할 따름입니다.
그리스도인은 생각과 말과 행위, 모두가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어야 합니다.
무질서를 바로 세우고 매사에 정의를 기준 삼을 때 비로소 주위를 비추게 됩니다. 선과 악을 분별치 않고 무조건 동조하는 행위는 어둠의 행위입니다.
이 땅에서 우리가 아버지께 가져갈 것은 하루 양식을 위해 흘린 성실한 땀입니다.
이웃의 아픔에 함께 흘린 눈물입니다. 이웃을 위한 희생의 상처가 있다면 좀 더 자랑스러울 것입니다. 옳지 않은 줄 알면서 따르는 것은 오만입니다.
지혜로운 신앙이 아니라 무지입니다.
이야말로 신앙과 삶을 분리시키는 일이며 하느님과 바알을 함께 섬기려는 어리석음이 아닌지요?
교회에서만, 생각으로만, 기도할 때만 하느님 뜻을 구하는 일은 신앙의 정석이 아닙니다.
역행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