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일상에서 부딪혔어요

11. 돌아가신 분을 위해서 49재 미사를 봉헌하고 싶습니다.

12. 전교하기 위해서 힘껏 돕고 사랑했던 이웃에게 냉대를 당하고 보니 너무 실망스럽습니다. 그만두어야겠지요?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14. 성덕의 삶은 평신도에게는 너무 어렵습니다. 교회가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닌지요?

15. 자살한 사람들에게는 교회 장례식이 금지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문제 5)

16. 아파트 부녀회가 아파트 가격 담합을 제안하는데 거부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17. 가톨릭 교회가 술이나 담배를 허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19. 아이에게 주일미사 참례와 매일 기도할 것을 가르칩니다. 굳이 여름 신앙학교에 보내야 하는지요?

20. 신앙학교가 영어캠프와 겹쳤다고 핑계를 대는 아이를 잘 설득하고 싶습니다.

 

15. 자살한 사람들에게는 교회 장례식이 금지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
문제 5)

 우선 자살은 창조주께 대한 극도의 모욕”(‘사목 헌장’ 27) 행위임을 말씀드립니다.
자살은 인명경시 풍조를 조성하는 탓입니다.
자살은 자포자기적 삶의 형태이기에 사회구성원에게 파급되어 공동체의 다른 이에게 심각한 피해를 일으킵니다.
때문에 과거의 교회는 자기 손으로 목숨을 끊는 모든 사람들에게 교회 장례식과 연미사를 금했습니다.
물론 오늘날 교회는 자살자에 대해서 사목적인 배려 없이 무조건 자살은 죄이다. 자살에는 구원의 은총이 없다.” 라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자살을 개인의 불신앙 탓으로 돌리지 않는 것입니다.
하지만 교회는 예수님의 말씀과 삶을 전하는 현장이기에 죽음에서 살려내는 생명과 희망의 공동체이며 저장고입니다.
예수님께서 자신의 죽음을 통해서 모든 생명을 구하신 까닭은 모든 생명이 지닌 가치와 고귀함을 깨닫게 하기 위함이니까요.
이것이 교회가 인류에게 온몸으로 선언한 예수님을 본받아 살아가기를 권하는 이유입니다. 때문에 완전한 지식과 자유의지로 행하는 직접적 자살을 옹호하는 사상과 행동에 반대합니다.
어려움과 고통이 있을 때에 기도할 수 있게 하고 이겨나갈 수 있도록 배려하며 하느님을 향한 믿음으로 더욱 적극적이고 아름다운 삶의 공간을 마련하도록 교회는 돕습니다.
교회는 좋은 천국에서 모든 이가 만나 일치하여 함께 사는 일을 희망합니다.


 

문제 5. 자살한 사람들에게는 교회 장례식이 금지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5-1)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2003년 이후 2020년까지 세계경제협력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놓친 적이 없습니다.
참으로 부끄러운 자화상이 아닐 수 없는데요,
자살은 인명경시 풍조를 조성하는 탓입니다.
자살은 자포자기적 삶의 형태이기에 사회구성원에게 파급되어 공동체의 구성원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일으킵니다.
그러면 자살은 창조주에 대한 어떤 행위 입니까?

) 창조주께 대한 극도의 모욕 행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 감사합니다.(5권, ‘복의 통로’ 장 재 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1
361 감사하고 사랑하는 삶을 위하여(5권, 부산교구 총대리 손 삼 석 요셉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1
360 286. 부모님들의 말씀대로 정신없이 공부만을 했습니다. 대학가면 좋은 친구도 생기고 참된 스승을 만나서 멋진 캠퍼스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반 학기가 다 지나간 현재 상황은 너무 실망스럽기만 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1
359 208. 토빗 12,18의 “날마다 그분을 찬미하고 찬송하여라”는 라파엘 대천사의 당부를 읽으면서, 어떻게 날마다 찬미와 찬송을 드릴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2
358 신앙의 산을 함께 오르며.…(‘복의 통로’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2
357 아직도 수북한 우리들의 이야기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3
356 권하는 글: <소곤소곤, 아하, 그런거군요!>의 발간을 축하드리며 (전 의정부교구장 이한택 요셉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3
355 202. 학원 강사입니다. 일등만 요구하는 세상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최선을 쏟아 준비시키는 직업이 하느님을 기쁘게 하지 못할 것만 같아 고민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0 3
354 292. 인터넷에 떠도는 반 그리스도교적인 불경한 글을 읽으며 잠시 솔깃했습니다. 그런데 충격적인 이야기의 잔상이 쉬 떨쳐지지 않습니다. 이 내면의 고통을 어떻게 잠재울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3
353 231. 전교를 하는 중입니다. 입교를 원한다면서도 자꾸만 “개종하면 꼭 안 좋은 일이 생긴다”며 망설이기만 하니 속에 열불이 납니다. 어떻게 설득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4
352 326. 악한 사람을 “동물 같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만입니다. 제가 키우는 강아지는 너무나 착하고 예쁜데 어떻게 그런 표현을 사용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3.02 4
351 157. “기복적인 요소를 배제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야베츠는 복을 빌어 응답받지 않았습니까? 복을 얻어 복을 끼치고 살면 좋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4 5
350 221. 하느님께서 죄인을 끝까지 사랑하신다는 점은 이해되지만, 예수님도 사람들의 잘못을 냉정하게 나무라지 않았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1 5
349 224. 하느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시고 우리 아버지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 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2 5
348 238. 고3 여학생입니다. 과학이 하느님께서 만들어 놓은 것을 발견한 것에 불과하다는 신부님의 말씀과 그들을 낮추어보는 듯한 표현이 불편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3 5
347 259. 성탄절을 왜 크리스마스라고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4 5
346 293. 방송에서 어느 스님이 선과 악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하던데요. 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우리에게는 선이지만 일본인에게는 악이라는 예를 들더군요. 그런 어이없는 주장에 관하여 꼭 집어서 반박하도록 가르쳐 주십시오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6 5
345 313. 2021년은 김대건 신부님 탄생 200주년으로 희년이 선포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희년을 잘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7 5
344 144. 신부님께서 “하느님께서는 세상의 단 한 사람, 나를 만들기 위해서 무척 고심하셨다는 사실은 진리”라는 말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하느님께서는 외모가 빼어난 사람을 골라 뽑으신 경우가 성경에는 많지 않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3 6
343 173. 지구 종말에 관한 책이나 영화를 보면 두려움을 느낍니다. 실제로 그런 현상이 벌어질 때 그리스도인의 대처방법은 무엇일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6 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