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by 월평모힐라리오 posted Aug 03,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상에서 부딪혔어요

11. 돌아가신 분을 위해서 49재 미사를 봉헌하고 싶습니다.

12. 전교하기 위해서 힘껏 돕고 사랑했던 이웃에게 냉대를 당하고 보니 너무 실망스럽습니다. 그만두어야겠지요?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14. 성덕의 삶은 평신도에게는 너무 어렵습니다. 교회가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닌지요?

15. 자살한 사람들에게는 교회 장례식이 금지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문제 5)

16. 아파트 부녀회가 아파트 가격 담합을 제안하는데 거부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17. 가톨릭 교회가 술이나 담배를 허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19. 아이에게 주일미사 참례와 매일 기도할 것을 가르칩니다. 굳이 여름 신앙학교에 보내야 하는지요?

20. 신앙학교가 영어캠프와 겹쳤다고 핑계를 대는 아이를 잘 설득하고 싶습니다.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교회에 주어진 첫째 의무는 모든 인간을 구원의 길로 이끌어가는 일입니다.
때문에 교회의 논리는 언제나 무엇이든 이로부터 출발합니다.
세상의 누구도 구원의 길에서 소외시키지 않는 하느님의 뜻에 따라 신앙인의 양심에 교리적, 윤리적 요구를 제시하는 것은 계시로 드러나지 않은 윤리적 진리를 설명하는 권한이 교회에 있기 때문입니다.
교회가 모든 윤리적 요구를 수용하여 따르도록 '종교적 순명'을 촉구하는 이유이지요.
사랑의 계명을 살으라 하신 예수님의 말씀은 아주 작은 일을 매 순간 사랑으로 실천하는 '현재형' 의 요구입니다.
구원에 이르는 그 날까지 사소한 삶 안에서 지금, 자신의 마음을 예수님의 말씀에 비추어 살도록 이끄는 일은 중요한 이유입니다.
삶에는 아주 사소한 일을 빌미로 서로 미워하고 원망하고 슬퍼하며 상처를 주고받아 하느님의 뜻을 거스르는 일이 허다하니까요.
더불어 살아가는 인간에게 윤리적 요소가 배제될 때 모든 공동체는 힘세고 목소리 높은 사람이 최고가 될 것이니까요.
교회가 정치적 음색을 띄는 경우도, 개인생활에 세밀한 지침을 주는 일도 모두 하느님의 호소입니다.
교회는 하느님의 계획을 외치는 하느님의 음성이기에 사소한 것에도 결코 잠잠할 수 없습니다.
돌들이 소리칠지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