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1이게 정말 궁금했어요

일상에서 부딪혔어요

11. 돌아가신 분을 위해서 49재 미사를 봉헌하고 싶습니다.

12. 전교하기 위해서 힘껏 돕고 사랑했던 이웃에게 냉대를 당하고 보니 너무 실망스럽습니다. 그만두어야겠지요?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14. 성덕의 삶은 평신도에게는 너무 어렵습니다. 교회가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닌지요?

15. 자살한 사람들에게는 교회 장례식이 금지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문제 5)

16. 아파트 부녀회가 아파트 가격 담합을 제안하는데 거부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17. 가톨릭 교회가 술이나 담배를 허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19. 아이에게 주일미사 참례와 매일 기도할 것을 가르칩니다. 굳이 여름 신앙학교에 보내야 하는지요?

20. 신앙학교가 영어캠프와 겹쳤다고 핑계를 대는 아이를 잘 설득하고 싶습니다.

 

12. 전교하기 위해서 힘껏 돕고 사랑했던 이웃에게 냉대를 당하고 보니 너무 실망스럽습니다. 그만두어야겠지요?

힘드시겠습니다. 애도 많이 쓰셨으리라 싶습니다.
아마도 이렇게 해 주면 성당에 따라 오겠지라고 생각하셨던 모양입니다.
하지만 이웃 사랑을 '전교를 위해서' 라고 생각하신 일이 잘못되었다는 말씀을 드려야겠군요.
사랑은 '아무런 대가'를 바라지 않는 마음이며 행위입니다.
그 의도가 아무리 좋은 것이라 할지라도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기 위해 베푸는 일이라면 사랑이 아니지요.
이웃을 향한 도움에 아무런 조건이 없을 때, 상대의 행위와 상관없이 하느님의 일을 실천한 기쁨을 얻게 됩니다.
이것이 세상을 기쁘게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방법이고 하느님과 독대하는 삶의 모습이지요.
한 사람을 성당에 오게 하는 일이나 교회의 영세자 숫자가 불어나는 일은 매우 중요하지만 전교는 내가 다니는 교회에, 내 손으로 이끌어 온 사람에 국한되는 일은 아닙니다.
전교는 전 우주적 관점에서 실천하는 하느님의 뜻이니까요.
하느님께서 사랑하시고 구원하시려는 사람은 세상에 무수히 많이 있으니 실망하지 마시고 선한 일을 행한 사실에 감사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친절과 사랑을 보이되 근시안적인 생각을 떨쳐 마음에 상처가 아닌 감사가 넘치기를 기도합니다.
자세한 내막을 알 수 없으나 자매님의 노고를 주님께서는 기억하실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 장재봉신부님의 소곤소곤 가톨릭부산 2021.07.19 59
361 1. 하느님의 명칭은 야훼입니까 여호와입니까?(문제 1)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0 123
360 2. 김용옥 씨가 주장하는 '구약성경 폐기론' 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1 80
359 3. 차례나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이 교회법에 어긋나지 않는지요? (문제 2)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2 84
358 4. 단지 재미로, 별 의미 없이 신문이나 인터넷에서 '오늘의 운세'를 봅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3 135
357 5. 점집이 아니라 철학관에서 작명을 하고 택일을 하는 것도 미신입니까? (문제 3)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4 113
356 6. 나쁜 꿈을 꾸면 종일 언짢아집니다. 꿈 해몽에 집착하는 버릇을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6 76
355 7. 가톨릭이 유사종교에 관대한 이유가 무엇인지요? 절에 49재를 부탁하고 템플스테이에 참가하는 일은 괜찮습니까? (문제 4)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7 95
354 8. 판단하지 말라는 말이 불의한 일에도 적용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8 44
353 9. 뉴에이지 운동이 무엇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9 58
352 10. 혼배미사 후에 대추나 밤을 던지며 “아들 많이 낳으라.”고 축수하는 폐백 문화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외람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0 65
351 11. 돌아가신 분을 위해서 49재 미사를 봉헌하고 싶습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7.31 506
350 아뢰는 말씀(1권, 2008 가마골에서) 장재봉 신부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1 20
» 12. 전교하기 위해서 힘껏 돕고 사랑했던 이웃에게 냉대를 당하고 보니 너무 실망스럽습니다. 그만두어야겠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2 49
348 13. 교회의 역할은 구원적 차원에 기준점을 제시하는 것인데, 정치적인 일에 관여하고, 사소한 개인 생활까지 교회의 윤리적 잣대로 간섭하는 일은 지나치지 않습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3 45
347 14. 성덕의 삶은 평신도에게는 너무 어렵습니다. 교회가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닌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4 51
346 15. 자살한 사람들에게는 교회 장례식이 금지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문제 5)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5 167
345 16. 아파트 부녀회가 ‘아파트 가격 담합’을 제안하는데 거부하기가 어렵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6 49
344 17. 가톨릭 교회가 술이나 담배를 허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7 210
343 권하는 글 (천주교 부산교구 교구장 황철수 바오로 주교)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8 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