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소곤소곤

1이게 정말 궁금했어요” 

일상에서 부딪혔어요

1. 하느님의 명칭은 야훼입니까 여호와입니까?(문제 1)

2. 김용옥 씨가 주장하는 '구약성경 폐기론' 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할까요?

3. 차례나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이 교회법에 어긋나지 않는지요?(문제 2)

4. 단지 재미로, 별 의미 없이 신문이나 인터넷에서 '오늘의 운세'를 봅니다.

5. 점집이 아니라 철학관에서 작명을 하고 택일을 하는 것도 미신입니까? (문제 3)

6. 나쁜 꿈을 꾸면 종일 언짢아집니다. 꿈 해몽에 집착하는 버릇을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7. 가톨릭이 유사종교에 관대한 이유가 무엇인지요? 절에 49재를 부탁하고 템플스테이에 참가하는 일은 괜찮습니까? (문제 4)

8. 판단하지 말라는 말이 불의한 일에도 적용됩니까?

9. 뉴에이지 운동이 무엇입니까?

10. 혼배미사 후에 대추나 밤을 던지며 아들 많이 낳으라.”고 축수하는 폐백 문화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외람되지 않습니까?

 

일상에서 부딪혔어요

7. 가톨릭이 유사종교에 관대한 이유가 무엇인지요? 절에 49재를 부탁하고 템플스테이에 참가하는 일은 괜찮습니까?

한국 종교인구 실태조사에서 천주교가 이제까지 유교의 성향을 가까이 하고, 현재는 불교와 상통하는 면을 보인 결과라는 분석이 있었습니다.
개신교나 불교에 비하여 천주교가 월등한 신장세를 보이는 까닭 중에 하나가 가톨릭이 유사 종교에 관대한 덕으로 평가한 것이지요.
이 같은 일반 매체의 결론은 평소 하느님을 향하여 일관되고 곧은 신앙을 드러내지 못했던 우리들 탓임을 통감합니다.
기수련, 뉴에이지 운동 등에는 하느님을 외면하고 우주와의 교통을 선호하도록 유혹하는 미끼와 덫이 숨어 있기에, 절대 삼가야 합니다.
혼합신앙에 불과한 49재를 절에서 바치다니요? 죽은 이를 위한 기도와 미사 그리고 묵상을 위한 다양한 피정이 교회 안에도 수북한데 굳이 절을 찾아 재를 바치고 명상할 까닭은 무엇인지요?
그리스도인은 믿음의 전문가입니다.
하느님의 뜻만을 행하는 성실한 일꾼이어야 옳습니다.
우리나라 가톨릭은 하느님을 위해서 목숨을 바친 순교자의 피가 바탕이 된 자랑스러운 교회입니다.
목숨을 걸만큼 절박하고 간절했던 선조들의 신앙이 우리의 방관과 우유부단함으로 변형되고 파기되는 일은 심히 염려스럽습니다.
그날, “나는 너희를 도무지 알지 못한다. () 불법을 일삼는 자들아!” (마태 7,23)라는 말씀을 듣는 부류가 있습니다.
깨어나 자성의 각오로 그 부류에 속하지 마십시오.

문제 4. 가톨릭이 유사종교에 관대한 이유가 무엇인지요? 절에 49재를 부탁하고 템플스테이에 참가하는 일은 괜찮습니까?

4-1) 49()는 불교의 전통적인 장례예식으로 죽은 후 49일 날에 영혼이 최종심판을 받고 환생하는 날이라 합니다.
절에 부탁한다는 것은 우리의 교리와는 아주 어긋납니다.
일부 신자들은 이 49재를 불교적 전통인 것을 모르고 유교의 제사로 착각하여 49()를 지냅니다.
우리 천주교 신자들은 죽은 후 영혼의 환생이 아닌 천국 혹은 연옥, 지옥으로 간다고 믿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연옥영혼들을 위하여 어떤 기도를 드려야 합니까.
 

) 위령기도, 위령기도4-2)

템플스테이(Temple Stay)를 우리말로 하면 산사체험이라 합니다.
이는 한국의 전통사찰에 머물면서 사찰의 일상생활을 체험하고 한국불교의 전통문화와 수행정신을 체험하는 것으로 그 시작은 오래되지 않습니다.
2002
년 월드컵이 열렸을 때 외국인 관람객들의 숙박시설 부족에 대한 보충과 관광용으로 시작되었다 합니다.
일부 우리 신자들이 호기심 또는 새로운 체험을 하고자 참가한다고 합니다.
우리 가톨릭신자들은 이것을 통하여 얼마든지 일정기간 동안 조용한 가운데 기도하고 수련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위에서 말한 이것은 무엇입니까?

) 묵상을 위한 다양한 피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167. 영세를 통해 모든 죄는 사함 받는데 한 달 후에 첫 고해를 시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세례 이후의 죄만 고백하면 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5 66
61 37. 미사 진행 도중에 들어와서 성체를 영하는 사람을 볼 때 분심이 듭니다.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되는 것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1 67
60 76. 성체조배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또 어떤 마음으로 언제, 어느 때에 드리면 좋은지요? (문제 14) ​​​​​​​ 월평모힐라리오 2021.10.15 68
59 176. "저는 초등학교 6학년에 올라가는 학생이예요. 주보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합니다. 신부님 말씀대로라면 굳이 축성을 받을 필요가 있나요? 축성을 받으면 묵주나 성물들이 성스러워진다고 생각했는데 잘못된 생각인가요? 그러면 축성을 받는 의미는 무엇인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07 69
58 6. 나쁜 꿈을 꾸면 종일 언짢아집니다. 꿈 해몽에 집착하는 버릇을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6 70
57 107. 성찬례 중에 신부님께서 성체의 조각을 떼어 성혈에 넣는 것을 봅니다. 왜 그렇게 하나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11.20 70
56 60. 고해성사와 고백성사 중에 어느 것이 맞는 용어입니까 ? (문제 11)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7 71
55 23. 마더 데레사 수녀님께서 하느님의 존재를 알지 못해서 괴로워했다는 것이 큰 충격이었습니다. 도대체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4 72
54 25. 사제의 기도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되는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17 72
53 36. 헌금의 적정선을 정하기가 애매합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한 것입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1.08.30 73
52 18. 피할 수 없는 사정으로 낙태를 택하는 일도 죄인가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8.09 75
51 62. 죄를 고백한다고 죄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데, 꼭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문제 12) 월평모힐라리오 2021.09.29 75
50 301.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 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텐데…… 궁금합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2.05 75
49 311. 세례 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월평모힐라리오 2022.02.15 75
48 8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 잘못된 것입니까? (문제 17) 월평모힐라리오 2021.10.29 76
47 270. 자녀 결혼식 날짜를 받은 이후에는 남의 집 행사에 참석하면 ‘복을 뺏긴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장례식은 궂은 일이라 더 피해야 한다는데요. 하느님께서 주신 모든 날이 복된 날이고, 좋은 날이라 생각하면서도 자식을 아끼는 마음에서 망설여집니다. 현명한 선을 그어주세요. 월평모힐라리오 2022.01.15 76
46 2. 김용옥 씨가 주장하는 '구약성경 폐기론' 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할까요?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1 78
45 3. 차례나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이 교회법에 어긋나지 않는지요? (문제 2)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2 78
» 7. 가톨릭이 유사종교에 관대한 이유가 무엇인지요? 절에 49재를 부탁하고 템플스테이에 참가하는 일은 괜찮습니까? (문제 4) 월평모힐라리오 2021.07.27 80
43 342. 묵주 팔찌를 선물하려다가 “묵주기도를 하시려면 묵주 팔찌가 아니라 정식인 5단 묵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묵주 팔찌는 사람의 편리를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 교회에서 정한 준성사라고 할 수 없습니다”라는 인터넷의 글을 읽고 망설여집니다. 월평모힐라리오 2022.03.18 81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