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6 추천 수 0 댓글 0
8월 3일은 성 요한비안네, 성녀 리디아 축일입니다.
우리 양정성당에는 박동식(요한비안네), 17교우회의 진묘분(리디아)
님이 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Joannes Maria Vianney)는 1786년 5월 8일 프랑스 리옹(Lyon) 근교에서 열심한 가톨릭 신자로 농부인 마태오와 마리 블루즈 사이의 6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다. 비안네가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서 프랑스 대혁명이 일어났고, 5세 때에는 파리(Paris)에서 가톨릭 성직자와 수도자들이 추방되고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자, 비안네는 어린 시절을 주로 부친의 농장에서 양을 치면서 지냈다. 정규 교육은 몇 개월밖에 받지 않았지만, 신앙생활을 충실히 하여 비밀리에 첫 고해(1794년)와 첫영성체(1796년)를 받았다.

 18세 때 부친의 허락을 받고 에퀼리(Ecully) 본당 발레(Balley) 신부의 지도를 받으며 개인적으로 사제직을 위한 공부를 시작하였으나 기초 교육이 부족하고 수학 능력도 많이 떨어졌다. 특히 라틴어 공부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게다가 정식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신학생이었던 비안네는 1809년에 징집을 당해 갖은 고통을 겪었다. 1811년에 베리에르의 소신학교에 입학하여 철학 과정을 공부하고 1813년에는 리옹의 대신학교에서 신학 공부를 하였으나, 라틴어 성적이 좋지 않아 1년 만에 퇴학당한 비안네는 학과 성적은 부족하였지만 발레 신부의 도움으로 신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신심과 성품을 인정받아 1815년 8월 13일 그르노블(Grenoble)에서 시몽(Simon) 주교로부터 사제 서품을 받았다.

 사제 서품 후 발레 신부가 있는 에퀼리 성당에서 2년 동안 보좌 신부로 생활한 비안네 신부는 1818년에 230여 명의 주민밖에 살지 않는 작은 마을 아르스의 본당신부로 부임하였다. 그는 여기서 죽을 때까지 42년 동안이나 봉직하면서 주민들에게 열렬한 신심을 불어넣었다. 이러한 비안네 신부의 노력으로 아르스의 종교적인 분위기는 일신되었고, 그 또한 설교자와 고해신부로 대단한 명성을 얻게 되었다.

 그 결과 1827년부터 수천 명의 고해자들이 그에게 성사를 받기 위해 한적한 시골 마을 아르스로 찾아올 정도였다. 매년 2만여 명의 신자들이 비안네 신부를 찾아왔기 때문에, 그는 오전 11시에 설교를 하고 성무일도와 식사, 특별한 상담 시간을 제외하고는 매일 새벽부터 저녁때까지 약 18시간 정도 고해성사를 주어야 했다. 그러나 그의 동료 사제들은 그를 잘못 판단하고, 그를 무식하고 지나치게 열성적이며 허풍선이라고 비난하곤 하였다. 이에 대해 그의 주교는 “저 신부만큼이나 모두 미쳤으면 좋겠다.”고 하며 그를 옹호하였다.

 이렇게 열심한 그 역시 가끔씩 사탄의 유혹을 받기도 하였다. 그의 성품은 지극히 단순하였고, 충고는 간단명료하였으나 신심이 차고 넘쳤으며 직선적인 설교를 하였다. 순례자들의 소란, 끊임없는 고해성사 요구들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그는 언제나 최선을 다하였다. 그는 단지 세 번 아르스를 떠났는데, 그것은 모두 수도원에 잠시 다녀온 것이 전부였다고 한다.

 비안네 신부는 열심한 성무에 지친 나머지 1859년 8월 4일 73세의 나이로 아르스에서 사망하였다. 1905년 1월 8일 교황 비오 10세(Pius X)에 의해 복자가 된 비안네 신부는, 1925년 5월 31일 교황 비오 11세에 의하여 시성되었으며, 1929년에는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본당 신부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


 소아시아의 아크-히사르(Ak-Hissar, 티아티라) 태생인 성녀 리디아는 자색 옷감 장수였는데, 필립피(Philippi)에서 행한 사도 바오로(Paulus)의 설교에 감복하여 첫 번째 개종자로서 세례를 받아 유럽(그리스) 최초의 신자가 되었다. 그리고 온 집안 식구들도 영세를 받게 하고, 사도 바오로로 하여금 그녀의 집에 기거하면서 선교활동을 하도록 협력하였다(사도 16,12-15).

th1_성녀리디아06.JPG.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7 8월 13일은 성 본시아노 축일 양정박혜영데레사 2019.08.21 39
546 8월 13일은 성 본시아노 축일 장수산나 2021.08.17 15
545 8월 13일(월) 성 본시아노 축일 file 박경례프란체스카 2018.08.15 104
544 8월 12일은 성녀 요안나 축일 file 장수산나 2020.08.17 1295
543 8월 12일은 성녀 요안나 축일 장수산나 2021.08.17 16
542 8월 11일은 성녀 글라라(키아라), 성녀 수산나 축일 file 장수산나 2020.08.17 42
541 8월 11일은 성녀 글라라(키아라), 성녀 수산나 축일 장수산나 2021.08.17 39
540 8월 11일은 성녀 글라라(키아라), 성녀 수산나 축일 양정박혜영데레사 2019.08.08 565
539 8월 11일(토) 성 글라라, 수산나, 키아라 축일 2 file 박경례프란체스카 2018.08.11 183
538 8월 10일은 성 라우렌시오, 성녀 수산나 축일 file 장수산나 2020.08.17 13
537 8월 10일은 성 라우렌시오, 성녀 수산나 축일 장수산나 2021.08.17 6
536 8월 10일은 성 라우렌시오, 성녀 수산나 축일 양정박혜영데레사 2019.08.08 62
535 8월 10일(금) 성 라우렌시오, 수산나 축일 file 박경례프란체스카 2018.08.10 103
534 8월 09일(목) 성 로마노 축일 1 file 박경례프란체스카 2018.08.09 159
533 8월 08일(수) 성 도미니코 축일 file 박경례프란체스카 2018.08.09 103
532 8월 03일(금) 성 리디아, 요한비안네 축일 file 박경례프란체스카 2018.08.03 124
531 7월31일은 성 이냐시오 축일 file 장수산나 2021.07.26 6
530 7월26일(목) 성녀 안나, 성 요아킴 축일 file 박경례프란체스카 2018.07.25 200
529 7월 8일은 성녀 엘리사벳 축일 장수산나 2020.07.06 18
528 7월 8일은 성녀 엘리사벳 축일 장수산나 2021.07.05 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34 Next
/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