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수의 아들이 아닌가?

가톨릭부산 2021.07.01 09:38 조회 수 : 38

호수 2658호 2021.07.04 
글쓴이 최요섭 신부 

목수의 아들이 아닌가?

 
최요섭 신부 / 율하성당 주임

 
   ‘고향’, 고향이라는 말은 누구에게나 다정함과 그리움, 그리고 추억이라는 정감을 주는 말입니다. 그래서 때로는 고향이라는 말만 들어도 애틋함과 가슴 따뜻한 마음이 전해지기도 합니다. 그런데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고향을 방문하셨지만 가슴 따뜻한 마음이 들기보다는 고향 사람들에게 무시를 당하십니다. 고향을 떠날 때와는 완전히 달라진 예수님의 모습에 고향 사람들은 깜짝 놀랍니다. 고향 사람들은 제자들을 거느린 예수님의 모습, 회당에서 가르치시는 모습, 병자들을 치유하시고 기적을 행하시는 모습을 넋을 잃고 바라볼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고향 사람들은 완전히 새롭게 변신한 예수님의 모습을 좀처럼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습니다. 의혹에 찬 눈으로 예수님을 바라보던 고향 사람들은 삼삼오오 모여서 이렇게 수군거렸습니다. “저 사람은 목수로서 마리아의 아들이며, 야고보, 요세, 유다, 시몬과 형제 간이 아닌가?”(마르 6,3ㄱ)
 
   이 짧은 한 문장을 통해 예수님에 대해 가졌던 고향 사람들의 속내를 엿볼 수 있습니다. 추억이 깃든 고향을 찾아온 예수님을 고향 사람들은 반기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유는 그들이 가지고 있던 ‘목수의 아들’이라는 오래된 선입견과 편견 때문이었습니다. 선입견과 편견은 한 사람을 자신이 알고 있는 사전 지식과 정보만으로 단정지어버리는 것입니다. 이는 진실이 거짓으로 탈바꿈할 요소를 다분히 내포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선입견과 편견으로 바라본 예수님은 이제 하느님의 아들도, 다윗의 자손도, 메시아도 아니었습니다. 그냥 무지랭이 목수의 아들이었고 나하고 다르지 않은 ‘너’, 아니 나보다 못한 ‘너’였습니다. 마음의 문을 닫아걸었던 고향 사람들 앞에서 예수님은 이제 상황을 종료시키고자 하십니다. 몇몇 병자의 병을 고쳐주시고는 조용히 고향을 떠나가십니다. 
 
   우리도 때로는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판단하기보다는 예수님의 고향 사람들처럼 스스로의 생각에 성을 쌓고 살아갑니다. 그리고 그 성 안에 갇혀 나만의 선입견과 편견으로 상대방을 재단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 복음은 이러한 우리의 그릇된 자화상으로 인해 소중한 만남이 어긋나면 안된다는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선입견과 편견으로 가득 찬 사람은 결코 누구도 사랑할 수 없습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050호 2010.05.23  새롭게 하소서! 김영곤 신부 
2760호 2023. 6. 4  삼위일체 신비는 실천교리입니다. file 조성제 신부 
2668호 2021.09.12  “내 뒤에 서서 나를 따르라.” file 장민호 신부 
2666호 2021.08.29  깨끗함과 더러움 file 전열 신부 
2663호 2021.08.08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더 행복하다.” file 장훈철 신부 
2633호 2021.01.10  “그렇소. 나는 천주교인이오.” file 김정렬 신부 
2606호 2020.07.19  “저 가라지들을 확 뽑아 버릴까요?” file 오창근 신부 
2605호 2020.07.12  열매 맺는 신앙 file 최성철 신부 
2600호 2020.06.07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file 윤명기 신부 
2575호 2019.12.25  육화하신 하느님 사랑 file 권지호 신부 
2343호 2015.08.30  더 중요한 것은? 김평겸 신부 
2298호 2014.11.02  순종과 헌신을 위한 낮아짐 김대성 신부 
2250호 2013.12.25  성탄은 사랑입니다 손삼석 주교 
2122호 2011.09.04  사랑과 용서 박성태 신부 
2102호 2011.04.24  우리의 삶에 동행하시는 주님 황철수 주교 
2681호 2021. 12. 12  “저희는 또 어떻게 해야 합니까?” file 이강영 신부 
2658호 2021.07.04  목수의 아들이 아닌가? file 최요섭 신부 
2653호 2021.05.30  그 사이에도 여기에도 살아계신 하느님 file 도정호 신부 
2634호 2021.01.17  무엇을 찾느냐? file 최현욱 신부 
2617호 2020.10.04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file 박명제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