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걸음의 용기를 ...

가톨릭부산 2021.01.13 11:29 조회 수 : 12

호수 2634호 2021.01.17 
글쓴이 김삼숙 아녜스 수녀 

한 걸음의 용기를 ...

 

김삼숙 아녜스 수녀 / 삼위일체수녀회, 교정사목

 

 

초라한 행색의 출소자 K형제가 교정사목 사무실을 방문하셨다. 고아로 자라 10대 때부터 60대 초반까지 교도소를 제집처럼 드나들다가 폐암 3기로 출소하여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도움을 청하러 오신 것이다. 사무실로 찾아와 그럴듯한 말로 도움을 받아가는 출소자들이 그 돈을 흥청망청 쓰고, 여러 본당을 전전하며 한 푼씩 얻어 가는 일을 종종 들었기에 K형제도 그럴 거라고 생각하며 그분의 삶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나 듣는 동안 생채기투성이 인생을 살아온 형제에게 다시 기회를 주고 싶었다. ‘폐암 3기 환자가 설마 사기를 치겠는가?’ 라는 작은 믿음으로 담당 신부님과 의논하여 거취를 마련하고 생계비와 생필품을 지원해드렸다. 그는 선뜻 도움을 주는 우리의 행동에 놀라워하였다. 출소하면 곧 다시 교도소로 들어가는 악순환 속에 누군가에게 자신의 지난 삶을 이야기 하거나 도움을 바라거나 얻은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다행히 관할 주민 센터의 도움으로 생계급여 수급권자로 지정되었고 진료 담당 의사의 관심과 배려로 안정을 찾아, 건강도 더 악화되지 않는 상태로 잘 지내고 계신다. 더해서 모범적으로 사는 출소자에게 지급하는 다세대주택을 공급받는 기쁨도 누렸다. 그의 입에서는 만날 때마다 수녀님, 적지만 국가에서 주는 돈으로 살아갈 수 있고 작은 공간이나마 내 집이라 생각하니 너무나 감사해요. 비로소 사람으로 사는 것 같아요. 죄만 짓고 살아온 저 같은 놈에게 살라고 도움을 주시는 분들이 있다는 것이 꿈만 같아요.”라는 감사의 말이 흘러나온다.

 

사막 한가운데서 자라는 선인장처럼 살지 않으면 이 세상에는 출소자들을 기다리고 있는 곳은 한 곳도 없다.”라는 출소자의 글을 읽은 적이 있다. 내 경험의 색안경을 끼고 K형제의 말을 건성으로 듣고 답하며 푼돈을 주고 보냈다면 그는 어떻게 되었을까?

 

출소자들이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해도 주변 현실은 항상 녹록지 않다. 그런 그들에게 사막의 바람과 햇살을 홀로 견뎌내야 하는 선인장의 삶이 아니라, 그들의 선한 의지를 돕고자 하는 이들이 있음을 알려주고 싶다.

 

최근에 그에게서 반가운 문자가 왔다. “수녀님, 저는 지금 강원도 태백을 지나 영월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차창 밖으로 동강이 참 깨끗하고 맑게 흐르네요. 몇 년 전, 잡혀서 포승줄에 묶여 수갑 차고 압송될 때는 맑게 보이지 않았는데...”

호수 제목 글쓴이
1963호 2008.11.02  합의조건 김 루시아 수녀 
1964호 2008.11.09  풍경 속의 작은 풍경 정여송 스콜라스티카 
1965호 2008.11.16  오바마의 공감(共感) 김영일 대건안드레아 
1966호 2008.11.23  나만의 가을느낌 김욱래 아우구스티노 
1967호 2008.11.30  소풍가던 날 김 루시아 수녀 
1968호 2008.12.07  ‘십당구락’과 화개 장터 이원우 아우구스티노 
1969호 2008.12.14  인연(因 緣) 김영일 대건안드레아 
1970호 2008.12.21  오시는 예수님을 기다리며 최충언 플라치도 
1971호 2008.12.25  아기예수님! file 김 루시아 수녀 
1972호 2008.12.28  아버지의 집 김양희 레지나 
1974호 2009.01.04  잘했어, 성룡! 탁은수 베드로 
1975호 2009.01.11  성찰(省察) 김종일 요한 
1976호 2009.01.18  새해선물 김 루시아 수녀 
1977호 2009.01.25  영적지수가 높아야 정여송 스콜라스티카 
1979호 2009.02.08  예수님과 백수님 탁은수 베드로 
1979호 2009.02.08  세계 병자의 날 박주미 막달레나 
1980호 2009.02.15  케냐 수녀님의 기도 김루시아 수녀 
1981호 2009.02.22  수도원의 아침 김양희 레지나 
1982호 2009.03.01  예수가 광야로 간 까닭은? 탁은수 베드로 
1983호 2009.03.08  절망을 넘어 이명순 막달레나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