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교회 예절
 

필자는 동료 교우 부부들과 그룹을 지어 매년 국내 성지 순례를 다니고 있습니다. 올해로 벌써 8년 째군요. 국내 오래된 성당에 가보시면 제대가 놓인 제단과 신자석 사이에 1미터 내외의 높이로 난간처럼 생긴 구조물이 있는 것을 예외 없이 보실 수가 있습니다.

 

요즈음 지은 성당에는 볼 수 없는데요.  옛날에 지은 성당에는 제단 끝에 난간이 있습니다. 제단 끝 난간의 기능은 제단과 신자석을 구분 하는 경계일 수도 있고, 주로 영성체할 때에 교우들이 무릎을 꿇고 기다리다가 성체를 받아 모시는 곳이었습니다. 옛날에는 원칙적으로 미사 중에 사제는 제단 아래로 내려오지 않게 되어 있었고 봉헌 또는 성체분배 시 사제는 제단 끝이라는 가장 낮은 계단까지만 내려와 봉헌물을 받고 성체를 분배했습니다.

 

요즈음은 사목상의 배려로 사제가 제단을 벗어나서 신자께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문제시 하지 않습니다. 또한 야외나 좌식 경당처럼 신자석과 제단의 구분도 없는 곳에서 미사를 드릴 때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오히려 친근감과 일치감을 불러일으켜 더욱 거룩한 미사성제의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국내 성지를 돌아 보노라면 성지마다 야외에서 미사를 볼 수 있도록 돌로 만들어진 제대가 덩그렇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성당의 중심은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제대입니다. 따라서 제대만 있다면 미사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충족되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12. 신부님의 제의 색깔 7가지 petersong 2018.07.21 2490
70 13. 신부님께서 미사 집전 때 입으시는 제의 순서와 옷의 종류는? 1 petersong 2018.07.21 2481
69 1. 성당에 들어서면 만나는 성모님, 어떻게 인사하나요? 1 petersong 2018.05.31 1894
68 7. 성당에서의 옷차림과 몸단장 petersong 2018.06.02 1720
67 34. 대부 대모의 조건과 역할 petersong 2019.06.29 1459
66 4. 미사 때 여자들은 왜 미사보를 써야 하나요? petersong 2018.05.31 744
65 6. 작은 십자 성호와 큰 십자 성호 petersong 2018.06.02 522
64 5. 성호경 그을 때 가슴인가 배꼽아래인가 헷갈리시죠? 1 petersong 2018.06.02 522
63 10. 늦게 와서 성체만 영하면 미사 참례가 인정 될까요? petersong 2018.06.22 520
62 50. 사제가 용서할 수 없는 죄 petersong 2019.12.11 518
61 62. 주일미사 참례 못할 때 대신 다른 기도문을 바치면 고해성사 안 받아도 될까요? petersong 2020.05.31 461
60 9. 교중 미사는 어떤 미사인가요? petersong 2018.06.21 458
59 20. 미사 때에 분향의 의미 petersong 2018.09.24 445
58 27. 성체가 바닥에 떨어졌을 때? petersong 2019.04.28 440
57 31. 9일 기도중 하루를 빼 먹으면 어떻하죠? petersong 2019.05.19 418
56 19. 한국 천주교 공식 미사주 ‘마주앙’ petersong 2018.09.14 417
55 3. 성당 내에도 통행금지 구역이 있어요. 1 petersong 2018.05.31 413
54 30. 이혼을 하면 조당에 걸려 성사생활을 못하나요? petersong 2019.05.19 394
53 28. 미사지향은 미사예물을 내야만 효과있나요? petersong 2019.04.28 392
52 65. 촛불은 언제 어디에 켤까요? petersong 2020.08.22 3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