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623호 2020.11.15 
글쓴이 김윤태 신부 

나눔만이 우리를 우리답게 합니다.

 
김윤태 신부 / 부산가톨릭의료원장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어떠한지요? 영국의 정치경제학자인 애덤 스미스의 “1명의 부자가 있기 위해서 500명의 가난한 사람이 있어야 한다.”라는 말은 지구촌의 현실 자본주의를 잘 대변해 주는 말인 것 같습니다. 우리는 경쟁적으로 더 많은 가난한 사람을 만들어 가는 데 주저함이 없습니다. 때론 전쟁도 불사합니다. 
 
   그런데 교회는 오늘 연중 제33주일을 ‘세계 가난한 이의 날’로 지냅니다. 세상은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처럼 더 많이 가지려고 폭주를 하고 있는데, 우리 교회는 작은 브레이크라도 되고자 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은 지난 2월 5일 교황청 사회과학 학술대회에서 “세상은 부유해졌지만 우리 주위에 가난한 사람은 늘어만 갑니다.” “부자 상위 50명의 재산으로 가난한 모든 이들을 살릴 수 있습니다.”라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오늘 독서에서도 훌륭한 아내는 여러 가지 중에서 “가난한 이에게 손을 펼치고, 불쌍한 이에게 손을 내밀어 도와”(잠언 31,20) 주는 사람으로 묘사합니다. 자기 가족뿐 아니라 이웃의 어려운 사람도 보살피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그런 사람에게는 “주님의 날이 도둑처럼 덮치지 않을 것”(1테살 5,4ㄴ)이라고 합니다. 항상 함께 나누고 베풀면서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은 어둠의 자식이 아니라, 빛의 자녀이며 낮의 자녀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복음은 달란트의 비유로 각자가 가진 것을 땅에 묻어 썩히면 안된다고 말합니다. 그럼 비록 얼마 되지 않는 것도 빼앗기거나 없어지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가진 것을 모두 내어놓고 나누고 사용하면 더 많은 열매를 맺고 더 받게 된다는 사실을 주님께서 명확히 알려주십니다.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은 필요한 사람에게 나누어지기 위해서 주어져 있습니다. 우리가 필요한 이유는 가지고 쌓아 놓기 위해서 아니라, 더 많이 나누기 위해서입니다. 만일 우리가 나누지 않고 쌓아 두려고 한다면 가진 것을 빼앗길 것이며, 심지어 도둑처럼 갑자기 덮쳐와 우리를 데려가실 것입니다. 
 
   우리의 인생이 삼십 배, 육십 배, 백 배의 열매를 맺는 길은 오직 나눔밖에 없습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637호(호외) 2021.02.12.설  “깨어 준비하여라.” 맹진학 신부 
2637호 2021.02.07  사명이 있어야 일상이 아름답다. file 박성태 신부 
2636호 2021.01.31  무엇을 보고, 듣고, 느끼려고 하는가? file 김수원 신부 
2635호 2021.01.24  아직 오지 않았지만 이미 왔다 file 권경렬 신부 
2634호 2021.01.17  무엇을 찾느냐? file 최현욱 신부 
2633호 2021.01.10  “그렇소. 나는 천주교인이오.” file 김정렬 신부 
2632호 2021.01.03  이제는 우리의 공현을··· file 김원석 신부 
2631호 2020.01.01  “죄가 많아진 그곳에 은총이 충만히 내렸습니다.”(로마 5,20) file 최윤호 신부 
2630호 2020.12.27  ‘또 하나의 성가정’이 되고자 file 석판홍 신부 
2629호 2020.12.25  고통을 넘어 희망을 주시는 아기 예수님의 성탄 file 손삼석 주교 
2628호 2020.12.20  우리 함께 예수님께서 꾸셨던 꿈을 꾸어요. file 윤기성 신부 
2627호 2020.12.13  대림은 자선과 회개의 삶 file 주영돈 신부 
2626호 2020.12.06  대림절, 다시 시작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file 이정민 신부 
2625호 2020.11.29  대림, 새색시가 새신랑을 맞이하듯이…. file 박상운 신부 
2624호 2020.11.22  믿고 희망하며 늘 사랑하고 더 사랑합시다! file 장재봉 신부 
2623호 2020.11.15  나눔만이 우리를 우리답게 합니다. file 김윤태 신부 
2622호 2020.11.08  구원의 기름 file 윤정환 신부 
2621호 2020.11.01  참행복을 누리는 성인이 됩시다 file 한건 신부 
2620호 2020.10.25  사랑, 이해부터 file 김경욱 신부 
2619호 2020.10.18  “정말 그것이 문제입니까?” file 이성주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