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58호 2015.12.13 
글쓴이 김상효 신부 

자선의 경제학 -“못 가진 이에게 나누어 주어라.”(루카 3,11)

김상효 신부 / 신선성당 주임 airjazz@hanmail.net

  1. 효용  재화의 가치를 효용이라는 단어로 바꿔 부르면 같은 재화라 할지라도 그 재화의 가치는 시간과 공간에 따라 달라진다. 별로 어렵지 않다. 빵 10개를 금방 먹은 이와 두 끼를 굶은 이에게 11번째의 빵은 전혀 다른 효용을 갖는다. 사막에서의 생수 한 병과 오아시스에서의 생수 한 병이 같은 값으로 팔리지 않는다.
  나에게 있는 좋은 것이 다른 이에게로 이전되는 것은 효용의 증대를 가져온다. 나에게 있는 옷 두 벌은 간혹 짐이 되기도 하지만 그것마저 못 가진 이에게는 옷 한 벌이 한 겨울에 큰 가치를 만들어 준다. 나에게 있을 때‘3’정도의 효용을 가졌던 옷이 - 효용은 재화의 양에 반비례한다 - 누군가에게 건너 가서‘8’정도의 효용을 만들어 낸다면 이 사회는‘5’정도의 효용만큼 부자가 된 것이다.

2. 부가가치  돈이란 흘러다녀야 한다. 그래야 부가가치가 생긴다. 그것도 낮은 곳으로 흘러가면 더 많은 부가가치가 생긴다. 더 여러 번 회전하기 때문이다. 세리에게로 흘러들어 간 돈은 좀처럼 회전이 되지 않는다. 자본의 속성상 더 많은 자본의 축적 만이 생길 뿐이다. 생활에 쪼들린 사람에게 준 돈은 당장 식료품 가게로 흘러가고, 식료품 가게 주인은 옆집 가스집에서 가스를 배달시키고 가스집 주인은 오늘 저녁 치킨을 시킬 것이다. 몇 단계에 걸쳐 부가가치가 생겨나는 것이다.

3. 시장 ‘못 가진 이’들이 너무 못 가지게 되어서 소비 여력이 사라져버리면‘많이 가진 이’들이 만든 상품을 소비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시장이 사라지는 것이다.

  자선은 선량한 마음이 하는 영적인 행위이다. 이 복음적 행위는 사회의 토대가 유실되지 않도록 대지를 껴안는 잔디와 같은 작용을 한다. 가난한 이를 돌보는 것은 결국 나를 지키는 일이 된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6 2363호 2016.01.03  사실 혹은 진실 조영만 신부  44
35 2389호 2016.07.03  나를 바칠 그 무엇 - “내 이름 때문에” (마태 10, 22) 김상호 신부  55
34 2376호 2016.04.03  자비와 관심 조영만 신부  57
33 2357호 2015.12.06  복음이 꾸는 꿈 조영만 신부  59
32 2368호 2016.02.07  최저시급 조영만 신부  61
31 2372호 2016.03.06  돌아갈 수 있을까? 조영만 신부  65
30 2386호 2016.06.12  감춤 & 드러냄 조영만 신부  65
29 2373호 2016.03.13  힘의 방향 - “끌고 와서”(요한 8, 3) 김상효 신부  67
28 2359호 2015.12.20  외양간에서 나신, 집 없는 예수님 조욱종 신부  69
27 2365호 2016.01.17  남의 일로 공생활을 시작하신 예수님 조욱종 신부  75
26 2408호 2016.11.13  복음 정신 조영만 신부  81
25 2390호 2016.07.10  사람이 있다! 조영만 신부  83
24 2377호 2016.04.10  현실과 비현실 -“나는 고기 잡으러 가네.”(요한 21, 3) 김상효 신부  86
23 2395호 2016.08.14  반공의 국익 조영만 신부  86
22 2381호 2016.05.08  매체와 메시지 -“왜 하늘을 쳐다보며 서 있느냐?”(사도 1, 11) 김상효 신부  87
» 2358호 2015.12.13  자선의 경제학 -“못 가진 이에게 나누어 주어라.”(루카 3,11) 김상효 신부  88
20 2364호 2016.01.10  지금 여기에 -“예수님께서도 세례를 받으시고”(루카 3, 21) 김상효 신부  88
19 2394호 2016.08.07  사드(THAAD)와 금송아지 김상효 신부  91
18 2404호 2016.10.16  그대, 잘 지내시는지요? 이균태 신부  94
17 2370호 2016.02.21  영광스런 변모와 자비의 특별희년과의 연관관계 찾아보기 조욱종 신부  9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