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616호 2020.09.27 
글쓴이 이장환 신부 

“이 둘 가운데 누가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였느냐?”

 
이장환 신부 / 선교사목국장

 
   예수님께서 ‘두 아들의 비유’를 들려주십니다. 아버지가 두 아들에게 이릅니다. “얘야, 너 오늘 포도밭에 가서 일하여라.” 큰아들은 “싫습니다.” 하고 대답하였지만, 나중에 생각을 바꾸어 일하러 갔고, 작은아들은 “가겠습니다, 아버지!” 하고 대답하였지만 가지는 않았습니다. 예수님께서 “이 둘 가운데 누가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였느냐?”라고 수석 사제들과 백성의 원로들에게 묻습니다. 그들은 ‘큰아들’이라고 대답합니다.

   처음엔 싫다고 한 큰아들보다 아버지의 뜻을 처음부터 따르고 실천까지 잘하는 자신들이 최고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하느님 나라는 당연히 자신들의 것이라 여겼으나 세례자 요한의 말도 따르지 않았고 예수님의 말도 듣기를 거부하는 그들은 ‘작은아들’이고,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는 죄인이었으나 요한의 말을 듣고 회개했던 ‘세리와 창녀들’이 ‘큰아들’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큰아들일까요, 작은아들일까요? 보좌신부 시절 함께 계시던 수녀님이 저에게 ‘착한 목자’라는 별명을 붙여주셨습니다. 별명이 마음에 들었던 저는 그에 걸맞게 살려고 노력했습니다. 신자들이 무언가를 부탁하면 즉시 ‘예’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리고 마음속으로 많은 생각을 시작합니다. 그것이 옳은 일인가? 형평성에 맞는 일인가? 너무 몰캉하게 보이는 건 아닐까? 등 대부분은 안 할 핑계를 찾는 것들이었습니다. 그냥 기쁘게 했으면 더 좋았을 것을…. 저는 그 당시의 사제들과 원로들처럼 오늘 복음에 나오는 ‘작은아들’이 될 가능성을 늘 안고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한편 신자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본당신부가 신자들에게 뭔 일을 시키면 하기 싫다고 합니다. 그러나 결국 일을 맡게 되고 맡은 일은 열심히 합니다. 마음이 약해서인지 신앙심이 깊어서인지 모르지만, 그들은 ‘큰아들’이 될 가능성이 더 큽니다.
 
   두 아들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마음은 어땠을까요? 큰아들에게서는 속상함에서 안도의 기쁨으로, 작은아들에게서는 든든함에서 서운함으로 바뀌지 않았을까 합니다. 아버지가 가지셨을 속상함과 서운함은 빼고, 든든함과 기쁨만을 드릴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적어도 ‘큰아들’로 살아가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요. 오늘 제2독서에서 바오로 사도가 말씀하신 ‘예수님께서 지니셨던 바로 그 마음’을 우리 안에 간직하고 살아갈 때, “예. 제가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였습니다.”라고 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모두가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637호(호외) 2021.02.12.설  “깨어 준비하여라.” 맹진학 신부 
2637호 2021.02.07  사명이 있어야 일상이 아름답다. file 박성태 신부 
2636호 2021.01.31  무엇을 보고, 듣고, 느끼려고 하는가? file 김수원 신부 
2635호 2021.01.24  아직 오지 않았지만 이미 왔다 file 권경렬 신부 
2634호 2021.01.17  무엇을 찾느냐? file 최현욱 신부 
2633호 2021.01.10  “그렇소. 나는 천주교인이오.” file 김정렬 신부 
2632호 2021.01.03  이제는 우리의 공현을··· file 김원석 신부 
2631호 2020.01.01  “죄가 많아진 그곳에 은총이 충만히 내렸습니다.”(로마 5,20) file 최윤호 신부 
2630호 2020.12.27  ‘또 하나의 성가정’이 되고자 file 석판홍 신부 
2629호 2020.12.25  고통을 넘어 희망을 주시는 아기 예수님의 성탄 file 손삼석 주교 
2628호 2020.12.20  우리 함께 예수님께서 꾸셨던 꿈을 꾸어요. file 윤기성 신부 
2627호 2020.12.13  대림은 자선과 회개의 삶 file 주영돈 신부 
2626호 2020.12.06  대림절, 다시 시작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file 이정민 신부 
2625호 2020.11.29  대림, 새색시가 새신랑을 맞이하듯이…. file 박상운 신부 
2624호 2020.11.22  믿고 희망하며 늘 사랑하고 더 사랑합시다! file 장재봉 신부 
2623호 2020.11.15  나눔만이 우리를 우리답게 합니다. file 김윤태 신부 
2622호 2020.11.08  구원의 기름 file 윤정환 신부 
2621호 2020.11.01  참행복을 누리는 성인이 됩시다 file 한건 신부 
2620호 2020.10.25  사랑, 이해부터 file 김경욱 신부 
2619호 2020.10.18  “정말 그것이 문제입니까?” file 이성주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