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이 성경 말씀이 너희가 듣는 가운데에서 이루어졌다.”

 

 

 

 

묵상 듣기 : youtu.be/6N26ON0Ba3Q


 

 

 

 

img.jpg

 

 
 

 

이사야의 두루마리에 적혀 있는 글. 그 글은 예언자가 자신의 사명에 대해 적은 글입니다. 하느님의 기름이 부어진 이, 곧 그리스도가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에 관한 내용입니다.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고, 잡혀간 이들에게 해방을 선포하며, 눈먼 이들을 다시 보게 하고, 억압받는 이들을 해방시켜 내 보내며 주님의 은혜로운 해를 선포"하는 것이 그것입니다. 
 

 

이 사명의 중요성과 가치를 반대할 사람은 없습니다. 하느님의 뜻은 언제나 옳고 우리가 기억하고 실천해야 할 내용입니다. 문제는 그 다음입니다. 사람들은 이 말을 누가 하느냐에 관해 문제를 삼게 됩니다. 그 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또 어떻게 삶에 반영하는가가 문제가 됩니다.

 
 

 

“오늘 이 성경 말씀이 너희가 듣는 가운데에서 이루어졌다.”

 

 
 

 

안식일에 회당에 들리셨던 예수님의 성경 풀이는 이와 같았습니다. 말씀을 알아듣고 있는 이들에게 예수님의 이 선언은 지금 당신이 이 일을 하고 있다는 자기 증언이었습니다. 지금 이 말씀이 이루어지는 곳이 바로 '지금, 여기'라는 이야기입니다. 성경은 진리를 말하지만 그 진리가 이루어지는 자리가 하느님의 뜻이 완성되는 곳입니다. 예수님은 그 순간이 지금이어야 하고, 다른 누구도 아닌 당신이 이 일을 하고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문제는 사람들이 주님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은 고향을 떠나 어떤 자리에 오르거나 자격을 얻은 상태가 아니었습니다. 그 동네에 이미 알고 있던 그가 어느날 갑자기 나타나서 하느님을 말하는 것을 사람들은 허용하지 못합니다. 자신들이 알고 있는 그는 그런 사람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의 태도는 예나 지금이나 참 변함이 없습니다. 어떤 진리이든 어떤 정의이든 누가 말하고 실천하는가 보다 그 일에 맞는 사람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 자리에 올라가야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평범하고 다를 것이 없는 사람에게는 그 은혜를 받는 것만 허용되고 그런 일들은 특별한 사람만 가능하다라는 편견을 지닙니다. 

 
 

 

고향에서 존경받을 수 없는 고향 안의 예언자는 하느님의 뜻을 헤아리지 못한 사람들의 이런 못난 모습들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주님도 이 일을 직접 경험하시게 된 것입니다. 주님이 예루살렘으로 가셔서 율법학자들이나 바리사이들의 인정을 받고 원로들과 대등한 분이 되어 오셨다면 그들의 태도는 달랐을 것입니다. 그러나 다를 것이 없는 우리에게 기대하지 않는 이들은 하느님의 뜻 조차 비현실적인 것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세례로 그리스도가 된 사람들. 그 사이에서 또 다시 그리스도의 길을 따르는 지금의 성직자들은 고향에서 환영을 받습니다. 그들은 이미 어떤 특별한 자리에 오른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과거를 모두 아는 이들도 그들 앞에서 고개를 숙이는 이유는 그 자리가 주는 특별함 때문입니다. 어쩌면 이 일을 기억하는 우리가 그리스도의 자리를 전혀 다른 차원으로 만들어 이 상황을 피하는 듯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기름부음 받은 이의 진정한 모습은 고향에 돌아온 예수님의 모습이라는 것을 성직자도 그들의 고향 사람들도 잊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지금 여기 우리 안에서 이 모든 예언이 현실이 되어야 한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1 2019년 12월 30일 성탄 팔일 축제 제6일 별지기 2019.12.29 5
330 2019년 12월 31일 성탄 팔일축제 제7일 별지기 2019.12.30 8
329 2019년 12월 3일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 기념일 별지기 2019.12.03 14
328 2019년 12월 4일 대림 제1주간 수요일 별지기 2019.12.03 13
327 2019년 12월 5일 대림 제1주간 목요일 별지기 2019.12.04 12
326 2019년 12월 6일 대림 제1주간 금요일 별지기 2019.12.05 8
325 2019년 12월 7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별지기 2019.12.06 5
324 2019년 12월 8일 대림 제2주일 별지기 2019.12.08 1
323 2019년 12월 9일 한국 교회의 수호자.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별지기 2019.12.08 3
322 2019년 1월 22일 연중 제2주간 화요일 별지기 2019.01.22 16
321 2019년 1월 23일 연중 제2주간 수요일 별지기 2019.01.23 13
320 2019년 1월 24일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별지기 2019.01.23 17
319 2019년 1월 25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별지기 2019.01.24 10
318 2019년 1월 26일 성 티모테오와 성 티토 주교 기념일 별지기 2019.01.25 9
317 2019년 1월 27일 연중 제3주일 별지기 2019.01.26 6
316 2019년 1월 28일 성 토마스 아퀴나스 사제 학자 기념일 별지기 2019.01.27 8
315 2019년 1월 29일 연중 제3주간 화요일 별지기 2019.01.28 4
314 2019년 1월 30일 연중 제3주간 수요일 별지기 2019.01.30 9
313 2019년 1월 31일 성 요한 보스코 사제 기념일 별지기 2019.01.31 5
312 2019년 2월 10일 연중 제5주일 1 별지기 2019.02.09 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