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매 맺는 신앙

가톨릭부산 2020.07.08 09:56 조회 수 : 39

호수 2605호 2020.07.12 
글쓴이 최성철 신부 

열매 맺는 신앙

최성철 신부 / 동항성당 주임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를 들려주십니다. 씨 뿌리는 사람이 씨를 뿌리는데 어떤 것은 길에 떨어져서 새들이 먹어 버렸습니다. 어떤 씨는 돌밭에 떨어져서 싹은 돋아났지만 해가 솟아오르자, 타고 말았습니다. 또 어떤 씨는 가시덤불 속에 떨어졌는데, 가시덤불이 자라자 숨이 막혀서 열매를 맺지 못하였습니다. 그런데 어떤 것들은 좋은 땅에 떨어져 열매를 맺었는데, 어떤 것은 백 배, 어떤 것은 예순 배, 어떤 것은 서른 배가 되었다고 합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풀이해 주십니다. 하늘 나라에 관한 말을 듣고 깨닫지 못하면 악한 자가 와서 그 마음에 뿌려진 것을 빼앗아 가버리는데 길에 뿌려진 씨가 바로 그런 것이라고 합니다. 돌밭에 뿌려진 씨는 뿌리가 없어서 고난이 닥치면 곧 걸려 넘어지고 마는 경우라고 합니다. 가시덤불 속에 떨어진 씨는 세상 걱정과 재물의 유혹이 그 말씀의 숨을 막아버린 경우라고 풀이해 주십니다.
 

 이 비유에서 씨는 하느님의 말씀이고 밭은 우리의 마음을 의미합니다.

미사에 참례해서 듣는 그날의 말씀이나 영적 독서로 접하는 매일의 성경읽기와 필사를 통해서 듣게 되는 말씀이 씨가 되어 우리 마음 밭을 비옥하게 한다면 우리는 참으로 열매 맺는 신앙인이 될 것입니다.
 

 열매 맺는 신앙, 열매 맺는 사람은 어떤 사람이겠습니까?

하느님 말씀을 듣고 새겨서 깨달은 사람입니다. 그래서 마음에 변화가 일어나고 그로 말미암아 삶에 변화가 일어나는 사람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사람은 가르칠 수 없다고 합니다, 스스로 깨달아야 합니다. 그래서 충고는 슬쩍 지나가는 말로 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지요.

말씀을 듣고 묵상하고 자기 것으로 만드는 사람은 결실이 따라옵니다. 깨달은 사람의 삶은 예수님을 닮은 삶이고 성체성사적인 삶이 됩니다.
 

 마음공부와 그에 따른 덕행이 신앙인의 삶의 자세입니다.

그는 친절하고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며 이웃을 행복하게 해 주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그는 이웃을 사랑하고 또 이웃으로부터 사랑을 받는 사람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050호 2010.05.23  새롭게 하소서! 김영곤 신부 
2760호 2023. 6. 4  삼위일체 신비는 실천교리입니다. file 조성제 신부 
2668호 2021.09.12  “내 뒤에 서서 나를 따르라.” file 장민호 신부 
2666호 2021.08.29  깨끗함과 더러움 file 전열 신부 
2663호 2021.08.08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더 행복하다.” file 장훈철 신부 
2633호 2021.01.10  “그렇소. 나는 천주교인이오.” file 김정렬 신부 
2606호 2020.07.19  “저 가라지들을 확 뽑아 버릴까요?” file 오창근 신부 
2605호 2020.07.12  열매 맺는 신앙 file 최성철 신부 
2600호 2020.06.07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file 윤명기 신부 
2575호 2019.12.25  육화하신 하느님 사랑 file 권지호 신부 
2343호 2015.08.30  더 중요한 것은? 김평겸 신부 
2298호 2014.11.02  순종과 헌신을 위한 낮아짐 김대성 신부 
2250호 2013.12.25  성탄은 사랑입니다 손삼석 주교 
2122호 2011.09.04  사랑과 용서 박성태 신부 
2102호 2011.04.24  우리의 삶에 동행하시는 주님 황철수 주교 
2681호 2021. 12. 12  “저희는 또 어떻게 해야 합니까?” file 이강영 신부 
2658호 2021.07.04  목수의 아들이 아닌가? file 최요섭 신부 
2653호 2021.05.30  그 사이에도 여기에도 살아계신 하느님 file 도정호 신부 
2634호 2021.01.17  무엇을 찾느냐? file 최현욱 신부 
2617호 2020.10.04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file 박명제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