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57호 2015.12.06 
글쓴이 염철호 신부 

창세 2, 2은“하느님께서는 하시던 일을 이렛날에 다 이루셨다.”라고 말하는데, 하느님께서 6일 동안 창조하시고 이렛날은 쉬지 않으셨나요?

염철호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jubo@catb.kr

  창세 1장을 읽다보면 하느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실 때 엿새 동안 창조하시고, 이렛날은 쉬셨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창세 2, 2에서는 뜬금없이 하느님이 이렛날에 모든 것을 다 이루셨다고 말하니, 의문이 드는 것도 당연합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히브리어 성경 원문이‘이렛날에 다 이루셨다’고 전한다는 사실입니다. 이 점이 어색했던지 기원전 3세기경 히브리어 성경을 그리스말로 번역했던 분들이나 사마리아에서 사용되던 성경은 이 대목을‘엿새’로 바꾸기도 합니다. 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이렛날’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하느님께서 엿새 동안 창조하신 일을 이렛날의 안식으로 모두 마무리하셨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안식의 중요성이 부각됩니다. 안식, 곧 휴식이란 단지 엿새 동안 일하는 것을 멈추고 쉰다는 의미가 아니라, 엿새 동안의 일을 휴식, 곧 안식으로 완성한다는 의미입니다. 일을 멈추고 하느님께 모든 것을 내어 맡기며 하느님 안에서 쉼으로써, 자신이 하던 모든 일들을 마무리한다는 말입니다. 이것은 세상 종말에 가서 누리게 될 영원한 안식이 지니는 의미와 동일합니다. 종말은 단순히 세상의 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시작하신 구원 역사의 완성이요, 창조 사업의 완성입니다. 우리 그리스도교는 유다교와 달리 안식일 다음날, 곧 주님께서 부활하신 주일을 안식의 날로 지내고 있습니다. 이날을 거룩하게 지내는 것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의 의무이자 권리입니다. 이런 권리와 의무는 나만의 것이 아니라, 나의 이웃, 더 나아가 온 세상이 함께 누리고 지켜야할 것들임을 기억해야겠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16 2510호 2018.10.14  자녀에게 신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임성근 신부  95
115 2516호 2018.11.25  어떻게 하면 하느님과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 임성근 신부  95
114 2313호 2015.02.01  성경을 보면 하느님이 누군가를 선택하시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하느님은 왜 누구는 선택하시고, 누구는 선택하지 않으시는가요? 사람을 차별하시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134
113 2318호 2015.03.08  개신교와 천주교의 구약성경은 왜 서로 다른 거죠? 염철호 신부  313
112 2323호 2015.04.12  창조, 홍수 이야기 등을 읽을 때마다 현대인이 보기에 다소 허무맹랑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염철호 신부  78
111 2328호 2015.05.17  창세 1, 26에서 하느님은 인간을 창조하며“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라고 말씀하시는데, 하느님은 한 분 아니신가요?“우리”는 누구를 말하는 걸까요? 염철호 신부  260
110 2332호 2015.06.14  창세기 1장 27절의 말씀에서는 하느님께서 우리를 당신 모상으로 창조하셨다고 말하는데, 창세기 2장 7절의 말씀은 사람을 흙의 먼지로 빚어진 존재라고 말합니다. 사람은 처음부터 하느님 모습을 닮은 귀하고 선한 존재인가요? 아니면 흙의 먼지로 만들어진 비천한 존재인가요? 염철호 신부  326
109 2338호 2015.07.26  가끔 성경의 역사가 6,000년이라는 소리를 듣는데, 무슨 뜻인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예수님 이후 신약 2,000년, 그리고 앞서 구약 4,000년이라는 이야기인데 그러면 천지창조 이래 예수님 탄생까지 4,000년 밖에 안 된다는 것은 말이 안 되지 않습니까? 염철호 신부  356
108 2342호 2015.08.23  카인은 하느님이 저주를 내리자“제가 세상에서 쫓겨나면 세상을 떠돌며 헤매는 신세가 되어, 만나는 자마다 저를 죽이려 할 것입니다.”(창세 4, 14 참조) 라고 말합니다. 아담과 하와 밖에 없던 시절 카인을 죽이려던 자들은 누구였을까요? 염철호 신부  93
107 2347호 2015.09.27  시몬 베드로의 장모 치유 이야기(마르 1, 29∼31)에서 장모의 열병은 처자식 내팽개치고 예수님만 따라다니던 사위 때문에 얻은 화병인가요? 염철호 신부  461
106 2352호 2015.11.01  하느님은 왜 선악과나무를 심어 사람이 유혹에 빠지게 하셨을까요? 아담과 하와는 왜 선악과나무 열매를 따 먹어 죄가 세상에 들어오게 했을까요? 염철호 신부  232
» 2357호 2015.12.06  창세 2, 2은“하느님께서는 하시던 일을 이렛날에 다 이루셨다.”라고 말하는데, 하느님께서 6일 동안 창조하시고 이렛날은 쉬지 않으셨나요? 염철호 신부  190
104 2364호 2016.01.10  성경을 읽다보면 ‘아멘’이라는 말이 종종 나오는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337
103 2369호 2016.02.14  성경을 읽다 보면‘할렐루야’라는 표현이 종종 나옵니다. 전례 때도 자주 사용되던데, 어느 나라 말이며, 무슨 뜻인가요? 염철호 신부  274
102 2374호 2016.03.20  약은 집사 이야기(루카 16, 1~8)에서 주인의 재물을 마음대로 탕감해준 집사를 주인이 도리어 칭찬하는 모습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염철호 신부  221
101 2379호 2016.04.24  성경은 언제부터 있었나요? 예수님 시대 때도 있었나요? 염철호 신부  172
100 2384호 2016.05.29  성경에는 족보 이야기가 많은데 너무 지루해요. 꼭 읽어야 하나요? 염철호 신부  133
99 2389호 2016.07.03  구약성경을 읽다보면 하느님의 천사가 나타나 이야기하다 돌연 하느님이 말씀하시는 것으로 바뀌는 경우가 종종 있던데 왜 그런가요? 염철호 신부  188
98 2394호 2016.08.07  창세기에서 야곱은 이사악을 속이고 하느님의 축복을 가로채는데, 이 이야기를 읽다 보면 에사오가 좀 측은해 보입니다. 염철호 신부  232
97 2404호 2016.10.16  욥기를 읽다 보면 이런 의문이 듭니다. 욥은 하느님의 계명을 잘 지키며 의롭게 살았는데 왜 그토록 많은 고통을 당하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174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